“통합전산시스템 강화로 급식 공공성 키운다”

인터뷰 l 황영묵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급식전략본부장

  • 입력 2020.01.05 18:00
  • 수정 2020.01.05 20:35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황영묵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급식전략본부장은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 운동의 주도자 중 한 명이었다. 국내 최초의 지역 공동급식지원센터인 안양·군포·의왕 공동급식지원센터 설립 과정에서 활약하며 Non-GMO 학교급식 발전에 기여했다(본지 828호 <GMO 프리존, 아이들 밥상부터> 참조). 황 본부장은 지난해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원장 강위원, 진흥원)으로 와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 계획 수립 역할을 맡았다. 새 임무로 바쁜 황 본부장을 광주시 경기도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내 진흥원 사무실에서 만났다.

지난해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의 성과를 평가하자면?

첫째로 학교급식의 신뢰성과 공공성이 강화됐다. 과거 민간 공급대행업체들이 농산물 유통 업무를 담당할 시, 관외 농산물 구입가격이 얼마였는지에 대한 정보도 공개되지 않았다. 진흥원이 이 업무를 맡으면서 농산물의 구매원가를 공개하고, 매뉴얼에 따라 학교급식 가격을 정하게 됐다.

관외농산물 가격공개에 따라 학교급식 공급가도 인하됐다. 지난해 2~4분기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27억1,000만원의 공급가를 절감할 수 있었다.

관외농산물 공급업체, 수매농산물 선별저장업체 등 친환경 학교급식 참여업체도 기존의 수의계약 방식에서 공모방식으로 바꿈으로써 학교급식의 공정성도 강화됐다는 게 우리 평가다.

지난해 경기도 내 친환경농가들의 전반적인 작황은 어땠나?

최근 몇 년간 흉작이었던 감자와 양파, 마늘이 올해는 풍년이었다. 이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폭락했는데, 진흥원에선 농가들이 계약재배한 농산물을 정가 수매하기 때문에 시중가격이 폭락했다고 일방적으로 가격을 낮추지 않는다. 생산자와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로 인해 학교 영양담당자들로선 어려움이 있기도 했다. 학교로서는 시중가격이 폭락하면 그 가격을 기준으로 식단을 짤 수밖에 없어서 그렇다.

학교급식 품위문제의 경우 어떻게 접근했나?

계약재배 농산물의 수매기준 원칙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품위기준에 대한 원칙도 정했다. 기존에는 수매기준은 있었으나 그 기준이 확고하게 지켜지지 않았기에, 원래 계약된 양보다 더 적거나 많은 양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물량이 들쑥날쑥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품위기준 관련 원칙을 정한 건 학교급식을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들리라 기대된다.

원칙을 정하는 걸로 끝이 아니라, 향후 지속적으로 생산자와 학교 영양담당자 간 이해 접점을 만드는 것도 진흥원의 역할이다. 지난 한 해도 생산자와 영양담당자 각각의 사정을 다른 쪽에 알리며 조율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한 번은 친환경사과의 60%가 학교에서 반품될 상황이었기에, 농가에 이야기해 상황을 알리고 반품되는 사과를 다른 학교로 돌리기도 했다. 이런 조정역할을 향후 더 강화하고자 한다.

내년 진흥원의 친환경급식 관련 사업계획은?

지난해가 친환경급식의 안정기였다면 올해는 ‘고도화를 통한 통합’ 시기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통합전산시스템을 통한 시·군 급식 주체들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그래야 농민과 영양담당자 등 급식구성원 모두에게 필요한 정보도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른 공공성도 강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흥원 직원들에 대한 친환경농업 관련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직원들부터 친환경농업의 특성과 가치, 농산물의 성격에 대해 더 잘 알아야 친환경급식도 발전한다고 생각한다. 최근 친환경농어업법의 친환경농업 정의도 생태환경 보전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바뀐 만큼,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잘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