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소비자 ‘건강한 생산과정’ 정보 공유해야

녹색소비자연대 주최 ‘친환경농업과 소비자의 상생협력을 위한 토론회’ 열려

  • 입력 2020.01.01 00: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사)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이사장 이덕승, 녹소연) 주최로 지난해 12월 23일 서울 용산구 삼경교육센터에서 ‘친환경농업과 소비자의 상생협력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사진).

이날 토론회에선 녹소연이 지난해 12월 6~13일에 걸쳐 진행한 ‘친환경농업 관련 소비자 의식조사(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만 20세 이상 소비자 중 농산물 구매경험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의식조사를 통해 친환경농업과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 중 눈여겨 볼 점은, 아직 다수의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의 개념을 ‘안전한 농산물(46.9%)’로 정의한다는 점이다. 친환경농산물을 ‘인간과 생태계의 건강 회복에 도움을 주는 농산물’이라 답한 이는 34%였다. 이는 과거의「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친환경농어업법)」이 친환경농업을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규정해 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 동안 정부와 지자체, 시민사회의 친환경농산물 홍보 과정에서도 ‘안전한 먹거리’란 내용은 빠지지 않았다.

소비자들은 왜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할까. 구매 경험자의 38%가 그 이유로 ‘건강과 영양’을 선택했고, 그 못지않게 ‘잔류농약 등으로부터의 안전(36.4%)’을 고른 이도 많았다. ‘생태계 및 환경보호’를 이유로 구매하는 이는 14.8%였다. 친환경농산물 구매 빈도는 월 2~3회 구매비율(27.2%)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주 1회(20.4%), 월 1회(14.9%) 순이었다. ‘구매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5%였는데, 그 이유로 ‘가격이 비싸서(65.3%)’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기존 농산물에 만족하기 때문(16%)’, ‘농약을 안 치거나 덜 친 것인지 신뢰할 수 없어서(10.7%)’란 답변이 뒤를 이었다.

올해 이뤄진 친환경농어업법의 ‘생태환경 보전’ 성격으로의 정의 개정에 대해선 과반수 이상의 소비자들이 동의하는 분위기다. 친환경농업 정의 개정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한다’는 소비자가 50.1%,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소비자가 6.7%였다. 동의하지 않는 비율은 7.5%다. 녹소연 측은 이 설문결과를 근거로 “소비자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어진다면 친환경농업에 대한 균형잡힌 인식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유병덕 이시도르지속가능연구소장은 지난 2017년 말 337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 중 농약잔류허용기준(MRL) 대비 유기농 달걀에 허용할 수 있는 비의도적 혼입 잔류농약 허용 한계를 ‘0’으로 고른 이들은 25.6%에 불과했다. 나머지 75%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유기농축산물에서 비의도적 혼입으로 인한 잔류농약은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유 소장은 이와 함께 “같은 조사에서 MRL 기준 1/20의 비의도적 농약이 검출된 유기농 달걀을 88.6%의 소비자가, 1/10이 검출된 것을 63.2%의 소비자가, 관행 달걀 대비 1.5배 높은 가격을 감수하고 구매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유 소장은 “생산과정이 건강하다는 걸 알게 된다면 소비자들도 친환경농산물을 수용할 의향이 있다”며 “이에 발맞춰 정부와 언론에서도 소비자들에게 친환경농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줘야 하며, 정부의 친환경인증 방식도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