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실 갖춘 방역, 반복되는 전염병 피해 줄인다

[2019 농업 결산] 가축전염병 방역

  • 입력 2019.12.22 18:00
  • 기자명 장희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장희수 기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은 축산업에 큰 피해를 끼친다. 그동안 수많은 가축전염병을 겪으면서 파악된 문제점을 개선해 방역에 대한 내실을 갖출 때다. 가장 좋은 방역은 기초에 근거한 철저한 예방과 준비다.

가축방역 현장에는 발생지역의 공무원과 해당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정석찬)의 방역사가 투입된다. 이번 ASF처럼, 발생 및 의심축 신고가 들어왔을 땐 방역사들은 농장 입구 통제 및 출입자 소독 이외에도 일제검사, 역학관련 검사, 출하전 검사, 정밀검사 등의 시료를 채취한다.

전염병 특성상 동시다발적으로 현장에 방역사들이 투입되지만 ASF가 발생했을 당시 경기도본부의 가용 방역사 인원은 42명에 불과했다. 방역사들은 부족한 인력으로 과중한 업무를 떠맡을 수밖에 없었다.

전국공공운수노조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지부 조합원들이 지난 5월 20일 세종시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출근 선전전을 벌이고 있다.
전국공공운수노조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지부 조합원들이 지난 5월 20일 세종시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출근 선전전을 벌이고 있다.

다른 지역 본부에서 방역 현장을 지원할 수는 없는 것일까. 방역지원본부의 운영비는 국비 60%, 지방비 40%로 구성되므로 지자체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교차오염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기 때문에 타 본부의 방역 지원이 불가하다.

방역지원본부 관계자는 “국가 차원에서 전문 방역사들로 구성된 초동방역팀을 운영해야 한다. 평상시에 각자 업무를 하다가 긴급 방역이 필요한 시기에는 현장에 모여 방역을 실시한다면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교차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오히려 우리 방역사가 현장 방역을 더 철저하고 예민하게 관리한다. 전문 방역사들로 구성해 초동 방역에 나선다면 3일 걸릴 일도 더 신속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인력 부족 문제 외에도 살처분을 마주했던 사람들의 심리적인 문제와 인권문제도 해결돼야 한다. 큰 피해를 야기했던 지난 구제역과 비교했을 때 다행히도 현재 공무원이나 수의사에 대한 상담체제는 갖춰졌다.

양재원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구제역·AI 등으로 인해 발생한 살처분은 관계자들에게 심각한 고통을 준다. 선행 연구결과에 따르면, 살처분을 경험한 사람은 고립감, 우울감, 불면의 증상 또는 사회적 관계의 실종, 미래에 대한 염려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고 걱정했다.

구제역·AI 등 가축전염병 마무리 후 평가 과정도 문제점 개선에 핵심적이다. 우희종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교수는 방역 과정이 끝난 후 이를 평가하는 과정에 맹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우 교수는 동물을 방역하는 부처가 동시에 방역 평가를 하므로 개선이 더뎌질 수 있다방역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독립적인 기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수의학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국책연구소가 국내에 없다며 안타까워 했다. 우 교수는 동물단체·축산업계·공무원 등을 모두 아우르고 큰 틀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국책연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다른 수의학 관계자는 “한바탕 전염병 문제가 지나가면, 기존 전염병 사례들을 가지고 분석을 해놓아야 한다. 살처분 인력에 대한 교육·심리적 지원, 살처분을 했을 때 발생하는 사회경제적인 역학분석이 이뤄져야 한다”며 우 교수의 의견에 힘을 더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