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포획, 어디까지 이뤄져야 하나

환경부 주최 토론회, 한돈농민 빠진 ‘반쪽 논의’

  • 입력 2019.12.08 18:00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국내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원인과 전파 경로를 아직 찾지 못한 가운데 야생멧돼지 관리를 놓고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지난달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ASF 대응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선 ‘인간과의 공존을 위한 야생동물 질병 관리’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우신 서울대학교 교수는 2017년 ASF가 발생했던 체코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체코는 발생 2년 만에 ASF를 박멸해 성공적인 방역으로 평가받고 있다”라며 체코가 시행한 4단계 방역 경계 설정을 설명했다. 체코는 지속적인 예찰로 멧돼지의 사체를 찾고 멧돼지를 감염 지역으로 몰아 마지막에 사냥을 통해 감소시켰다.

이어 이 교수는 “남북 공동 연구로 DMZ에 서식하는 멧돼지의 행동권 및 이동경로 파악은 ASF 확산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요하다”고 짚었다. 다만 “멧돼지 개체군의 포획은 ASF 박멸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라며 “전면 포획은 생물다양성 유지 측면에서도 신중한 검토 뒤에 실시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야생동물학이나 수의학을 전공으로 한 전문가들이 주로 발표를 맡으며 축산업계와 한돈농민들의 의견이 빠진 ‘반쪽 토론’에 그치고 말았다. 한돈농민들은 ASF 발생으로 지난달 18일까지 38만 마리의 사육돼지를 살처분하고 장기간 이동통제기간에 묶이는 등 상당한 피해를 감내하고 있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ASF 정확한 발생 원인과 경로를 밝혀내지 못한 게 사실이다”라며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가능한 모든 발생원인과 경로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 바이러스 전파를 막을 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