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발생지역 돼지 생축 이동제한 풀어야

한돈협 “도별 이동 막히며 과밀사육·가격폭락 문제 심각”

  • 입력 2019.10.27 18:00
  • 수정 2019.10.28 00:03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 있는 한돈농민들도 이동제한으로 적잖은 피해를 입고 있다. 농장의 과밀사육뿐 아니라 지역간 공급 불균형에 따른 가격폭락까지 겹치며 한계상황에 달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지난 2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ASF 비발생지역간 돼지 생축 이동제한 해제를 긴급 요청했다. 이날 농식품부를 방문한 하태식 한돈협회장은 “ASF 발생에 따른 중점관리지역 지정 및 지방자치단체의 광역시·도간 생축 반출입 제한 조치로 생축 이동이 ASF 발생 이후 5주 동안 중단됐다”면서 “그동안 해당 지역의 한돈산업 생태계가 붕괴될 지경이다”라고 긴급 요청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현재 광역지자체 차원에서 도내 ASF 유입을 막고자 돼지생축뿐 아니라 분뇨, 사료, 소 생축의 반출입도 금하는 조치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경계 너머에 주거래 도축장이 있는 양돈장은 넘쳐나는 돼지로 포화상태에 이른 걸로 전해지고 있다. 미처 도축장에 출하하지 못한 물량은 경매시장으로 쏟아지며 돼지고기 경매가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한때 돼지고기 경매가는 ㎏당 2,969원까지 떨어져 3,000원대 돈가가 무너지기도 했다. 하태식 회장은 “전국적으로 양돈장의 과밀사육, 시설파손, 돈군 면역저하 등의 문제점이 심각해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다”라며 “특히 기존 거래처 변경에 따른 가격 하락 및 품질 하락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과체중 비육돈이 발생하며 가격이 폭락하는 등 문제점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사정을 전했다.

한편, 농장에서의 ASF 발생은 소강상태이지만 야생멧돼지에선 계속 ASF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23일 파주시 민통선 내에서 발견한 2마리의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도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며 야생멧돼지 ASF 발생은 14건으로 늘어났다.

방역당국은 22일부터 48시간 동안 민통선 이북지역에서 2차 민·관·군 협동 멧돼지 포획을 실시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에 의하면 23일 현재 전국적으로 567두의 멧돼지를 포획했으며 올해 누계로는 5만 6,245두가 포획됐다. 또, 국방부와 경기도, 강원도는 방제헬기, 군제독차, 방제차량 등을 투입해 DMZ 주변 하천과 인근도로를 지속적으로 소독하는 등 접경지역 소독에 집중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