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농민주권 위한 반GMO운동

  • 입력 2019.10.27 18: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최근 과학자들 중 GMO 개발이나 이용을 옹호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팽창하는 종자산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미래육종기술 투자의 일환으로 GMO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학자도 있으며, 20여년 간 GMO가 전세계적으로 재배됐음에도 단 한 건의 안전성 문제도 일으킨 바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GMO 먹거리를 섭취할 시 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선 여전히 논란이 분분하다. 20여년 간 단 한 건의 안전성 문제도 일으킨 바 없다는 위 주장과 달리, GM감자 개발에 직접 참여했던 과학자는 개발 과정에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독성물질이 들어갔다고 폭로한 바 있다.

백 번 양보해서 GMO에 안전성 문제가 없다고 치자. 그렇다면 정말 괜찮은 걸까?

여기서 잠시 GMO로 인해 면화농업이 파탄나다시피 했던 인도의 사례를 들어야겠다. 인도에선 예로부터 8,000종 이상의 토종면화 종자들이 재배됐다. 애당초 면화의 원산지가 인도이기도 하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부터 몬산토의 GMO 면화인 ‘BT면화’가 토종면화를 밀어내고 인도 면화 재배지의 95%를 차지하게 됐다. 그 과정에서 토종면화 재배농가들은 대거 파산하게 됐고, 토종면화 종자를 기반으로 했던 인도 전통 면화농업 기반도 파괴됐다.

몬산토는 BT면화가 목화씨벌레 등의 병해충을 억제한다고 홍보했으나, 정작 목화씨벌레는 BT면화에 내성을 갖고 더 활개쳤다. 인도 농민들은 줄지 않는 해충 때문에 더 많은 살충제를 써야 했다. 해마다 늘어가는 살충제 비용, 거기다가 몬산토에 꼬박꼬박 내야 하는 씨앗값 때문에 농민들은 빚에 시달렸다. 늘어난 빚더미를 감당하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농민들도 늘어났다.

GMO 개발에 몰두하는 초국적 자본들은 지금도 세계 각지의 농민들로부터 로열티를 꼬박꼬박 챙겨먹고 있다. 초국적 자본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종자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한 뒤, 농민들의 종자보전·교환 활동에 대해서도 ‘특허권 침해’라며 고소, 고발로 대응한다. GMO의 확대는 초국적 자본에 의한 종자다양성 박탈을 의미하며, 소농의 종자선택 권리 박탈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농민주권 박탈’이라 봐도 무방하다.

반GMO운동에서 먹거리 안전성 문제 제기는 결코 놓쳐선 안 된다. 그러나 먹거리 문제로만 접근 시 종자주권 등 농민 기본권 문제를 놓칠 수도 있다. 초국적 자본의 농민주권 침탈 시도를 주시하면서, 농민들의 토종씨앗 보전운동과 농생태학적 생태농업 확대운동에도 도시민들이 힘을 보태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