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랴부랴 야생멧돼지 포획 나서지만

환경부, 11일에야 개체수 조절 대책 제시 … ‘뒷북’ 비판

  • 입력 2019.10.20 18:00
  • 수정 2019.10.20 21:31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정부가 야생멧돼지 적극 포획으로 정책을 전환한 뒤에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야생멧돼지 발견지점이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에 방역당국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시기를 놓치고 뒷북을 친 게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난 11일 ASF 대응 멧돼지 관리강화 방안을 마련해 발생지역 멧돼지의 교란을 최소화하고 외곽지역에서 적극적으로 멧돼지 개체수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크게 접경지역을 집중예찰지역, 발생·완충지역, 경계지역으로 구분해 멧돼지를 통한 ASF 확산을 겹겹이 차단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12일부터 13일까지 철원군과 연천군 민통선 내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4건이 확인되자 다시 긴급대책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국방부는 멧돼지 관리지역을 감염위험지역, 발생지역, 완충지역, 경계지역으로 구분하고 2차에 걸쳐 차단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어 15일엔 환경부·국방부 합동으로 남방한계선과 민통선 내 지역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멧돼지 포획이 시행됐다.

그러나 같은날 경기도 연천군 민통선 이남지역에서 발견한 멧돼지 폐사체가 ASF 양성 반응을 보여 남하를 못 막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민간인 통제구역 남쪽에서 ASF 양성 멧돼지가 나온 건 이번이 최초다.

대한한돈협회와 ASF 살처분정책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생멧돼지에 대한 강력한 통제와 시군단위 예방적 살처분 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대한한돈협회와 ASF 살처분정책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생멧돼지에 대한 강력한 통제와 시군단위 예방적 살처분 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한돈농민들 사이에선 진작 정부가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에 나섰어야 했다는 탄식이 흘러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멧돼지 방역관리 정책은 수의방역을 총괄하는 농식품부에서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야생동물 보호가 업무인 환경부로는 강력한 방역조치를 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환경부가 야생 멧돼지 ASF 표준행동지침(SOP)을 따르지 않고 늑장대응을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지침상 농장 발생과 야생멧돼지 발생을 구분해 조치한다고 해명했지만 농장과 비교해 소극적인 대응이었다는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박광진 ASF 살처분정책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1960년대 이후 유럽은 ASF 발생시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하고 야생멧돼지 관리를 최우선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너무 늦었지만 보다 완벽하고 강력한 통제를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