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가위, 또 하나의 GMO?

  • 입력 2019.10.20 18: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유전자 가위기술(일명 유전자 편집)을 주시해야 한다는 경고다. 이미 GMO에 대한 반대 또는 경계심이 강한 상황에서, 과학자들과 정부기관이 유전자 편집기술을 적극 활용해 농업분야 ‘신품종’ 개발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사업비 약 1,159억원(국고 약 869억원)을 들여 ‘차세대 농작물 신육종기술 개발사업’을 시작했다. 농진청은 해당사업의 목표로 △신육종기술 기반 국내 육종기술경쟁력 10% 향상 △국가 육종효율성 25% 향상 △2025년 종자수출액 2,250억원 달성 등을 내걸고 있다.

해당 사업은 직접적으로 유전자 가위기술 활용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8월 22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최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에서 ‘유전자교정기술로 열어가는 정밀육종의 시대’란 토론회가 열렸다. 이 토론회에서 정영희 신육종기술실용화사업단장(전남대 교수)은 “농진청 주관으로 유전자 교정작물과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신육종기술실용화사업단을 발족했다”며 유전자 가위기술을 비롯한 유전자 교정작물 개발은 미래 농산업 발전을 위한 차세대 신육종기술로 주목받는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해당 토론회에서 김윤성 농우바이오 박사는 ‘종자기업에서의 유전자교정기술 활용과 전망’이란 주제로 발제했다. 김 박사는 유전자 교정기술을 통해 자연계에서 찾기 어려운 형질 도입이 가능함에 따라 품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며 “최근 여러 국가에서 유전자 교정기술로 개발된 품종 일부를 Non-GMO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 정부도 유전자 교정기술 적용 품종에 대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가깝다.

실제로 미국, 일본에선 외부 유전자가 삽입되지 않은 채 일부 유전자 교정만 가한 작물은 Non-GMO라 규정했다. 미국 농무부는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개발한 유전자 가위 이용 갈변 저항성 양송이버섯 및 듀퐁 파이오니어에서 개발한 유전자 절단 옥수수에 대해 규제 대상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반면 유럽연합 국가들은 유전자 가위기술 적용 작물이 GMO이니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내에선 아직 유전자 가위기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일부 종자기업이나 연구자들 주장대로 정부기관이 앞장서서 유전자 가위기술을 신육종기술로 당장 적용하기에 앞서, 시민사회와 정부 간 공론화 과정부터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GMO 문제의 심각성을 주장해 온 한 학자는 “과학계에서 GMO를 옹호하는 이들은 유전자 가위기술에 대해 편집기술, 교정기술 등의 표현을 쓰며 GMO와는 다른 것처럼 이야기한다”며 “어떤 기술이든 간에 안전성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면 당연히 규제하는 게 정부의 책무다. 국가 연구개발비 편성 과정 등에 있어서도 시민사회의 공론화 과정 참여가 수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