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시장 경매제만으로는 농산물 제값받기 힘들다

  • 입력 2019.09.29 18:00
  • 수정 2019.09.29 19:20
  • 기자명 홍기원 배정은 기자 사진 한승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주농산물 유통구조 다변화 방안 모색 토론회 - 가락시장 제주농산물 전문 공공출자법인 설립을 중심으로’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지난 20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주농산물 유통구조 다변화 방안 모색 토론회 - 가락시장 제주농산물 전문 공공출자법인 설립을 중심으로’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배정은 기자 사진 한승호 기자]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은 지난 20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농산물 유통구조 다변화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 주제는 가락시장 제주농산물 전문 공공출자법인 설립이었다. 지역에서 서울 가락시장 문제를 다룬 토론회가 열린 건 이례적이다. 제주지역 농업계는 가락시장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이 날 토론회 내용을 지면에 게재한다.

인사말

 

위성곤 국회의원

농산물 유통문제에 더 관심을 가지려 직접 토론회에 왔다. 농민들이 땀흘려 생산한 농산물이 제값을 받고 농가소득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대형 도매법인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매시스템에선 농민들이 제값을 받기 어려운 구조다. 그래서 시장도매인 도입을 담은 법안이 발의돼 국회에서 논의 중이다. 특히 제주도는 대형 저온저장시설이 미비해 농민들이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없다. 향후 저온저장시설과 함께 도매시장을 갖추면 산지경매 시스템을 도입하는 게 적절한 방법인 것 같다. 산지경매·전자경매를 연구해 준비하는 게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다고 본다.
 

 

 

 

 

고용호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장

​제주는 현재 가뭄, 장마, 태풍의 피해로 현장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무엇보다 고생해서 수확한 농산물이 제값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 더 힘들게 하고 있다. 제주는 수년째 농가부채 전국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다. 또, 농가소득은 지난해 큰 폭으로 떨어져 농가경영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경매 시스템도 수산물은 산지경매인데 농산물은 가락시장이 좌우하면서 농민들의 시름이 깊다. 이런 상황에서 생산자단체, 지방자치단체 등이 출자한 공공출자법인이 시장도매인으로 유통사업을 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제주농산물 판매가 늘고 농가수취가격도 높아지길 소망한다.
 

 

 

 

 

송인섭 전농 제주도연맹 의장

이제 농민이 농산물 유통까지 책임져야 하는 게 현실이다. 일상화된 농산물 가격하락을 어떻게 헤쳐갈 것인지 같이 협력해 나가야 한다. 현장 농민들은 여러 요인이 있겠으나 유통구조의 문제 역시 중요한 요인이라고 느끼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유통구조 다변화 방안으로 제시되는 시장도매인제 도입과 농안법 개정안 속에서 제주농산물의 유통구조 다변화의 방안을 찾아보자는 취지로 기획됐다. 이제 유통의 문제 역시 공공의 영역에서 다뤄져야 한다. 또, 농업분야에도 지방분권, 지방자치가 절실하다.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을 수립해 지역 농산물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