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비료 적정시비

  • 입력 2019.08.25 18:00
  • 수정 2019.08.25 18:54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소하던 농지면적당 비료 사용량이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비료 적정시비를 유지하기 위한 농업계 전반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들녘에서 한 농민이 비료를 뿌리고 있다.한승호 기자
감소하던 농지면적당 비료 사용량이 증가세로 돌아선 가운데 비료 적정시비를 유지하기 위한 농업계 전반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충북 단양군 대강면 들녘에서 한 농민이 비료를 뿌리고 있다.한승호 기자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무기질비료(화학비료)는 농업 생산성을 현재의 수준으로 올리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하지만 과다한 사용은 토양 황폐화와 환경오염을 일으킬 여지가 있어 적정량만 시비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1999년 작물별 시비기준을 발간한 이래 3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7년 133개 작물별로 비료사용처방 기준을 정했다. 장용선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농업연구관은 “비료의 적정시비란 작물이 필요한 양만큼만 비료를 공급하는 걸 뜻한다. 토양의 양분 상태를 고려해 부족분만 비료로 보강하는 게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비료를 적정량만 시비하려면 토양검정을 통해 농지의 양분 상태부터 파악해야 한다.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일부 지역농협에선 농민들에게 무상으로 토양검정을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전체 농지가 약 1,300만 필지로 추정되는데 토양검정은 연간 45만점에서 50만점 수준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부분 유기농이나 무농약 등 친환경인증을 받는 농민들이 심사 때문에 토양검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비료협회가 협회 회원사 6개사를 기준으로 무기질비료 농업용 출하실적을 조사한 결과, 2015년 109만톤에서 지난해 105만4,000톤으로 약간 감소한 걸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기간 농경지 면적도 168만㏊에서 160만㏊로 줄어든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작 농지면적당 비료 사용량은 다시 반등하는 흐름이다. 비료협회 자료에 따르면 1㏊당 비료 사용량은 2000년 382㎏에서 2010년 233㎏으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부터 차츰 늘어나면서 2016년엔 268㎏을 기록했다.

농민들은 농사가 잘 돼 농산물 수확량이 많도록 노력한다. ‘풍년의 역설’로 가격폭락을 겪을 가능성도 있지만 일단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는 역할에 충실하다. 적정량을 넘은 비료 시비가 일어나는 이유다. 또, 농지환경에 따라 어쩔 수 없이 과다시비를 하기도 한다.

실제 농진청 농업환경자원 변동 평가 자료를 보면 논,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 별로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논은 대다수 화학성분이 적정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지만 과수원과 시설재배지는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칼륨(K), 칼슘(Ca) 등 다수의 화학성분이 적정범위를 벗어난 수치를 나타냈다. 시설재배지의 유효인산은 2016년 기준으로 적정범위인 300~550㎎/㎏-1을 훨씬 웃돈 1,041㎎/㎏-1을 기록했다.

한국토양비료학회장이기도 한 장용선 농업연구관은 “예전엔 토양에 유기물이 많지 않아 양분이 부족한 상황이기에 비료를 많이 시비했다. 이제는 사용량을 줄여야 하는데 대개 경험에 의존해 비료를 투입하고 있다”면서 “벼, 콩, 배추, 수박 등 비료를 많이 공급하면 되려 생산에 차질을 빚는 작목도 있다. 과학영농이 이뤄지도록 토양검정을 확대하고 시비 기술, 완효성 비료 등 관련 연구가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