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속 일본어 우리말로 바로잡자

충남도, 우리말 농업용어 109선 선정해 홍보 강화

  • 입력 2019.08.18 18:09
  • 기자명 장희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장희수 기자]

제74주년 광복절 맞아 충청남도는 지난 15일 우리 농업 속 일본어를 비롯해 한자·은어·속어 등 잘못된 용어를 바로잡는다. 도는 우리말 농업용어 109선을 선정해 관련단체, 귀농·귀촌인, 청년농민 등에게 사용할 것을 권장하기로 했다.

일상 농업에서 쓰이는 일본어 등을 청산하려는 이유는 은연중에 국민의 사고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한국어 말살정책을 쓴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농업용어를 우리말로 바꿔나가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공문서나 연구기관 발간자료를 비롯해 농업 현장에서 우리말 농업용어의 쓰임이 활발하지는 않은 상황이며, 일본어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현재까지도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시히카리·아끼바레(쌀품종), 다마(과채류 크기), 다이(출하용 상자 속 농산물), 다마네기(양파), 낑깡(동귤), 오뎅(어묵), 다대기(양념), 사시미(회), 다꽝(단무지) 등이 있다.

또한 도는 한자어 사용과 농민들이 알아듣기 어려운 행정용어 등에 대해서도 순우리말로 순화한다. 구체적으로 농업기반·농작물·재배기술·축산 분야 등 109개를 우선적으로 순화하기로 했다.

관정→우물, 한발→가뭄, 한해→추위피해, 한발→가뭄, 맹아→움트기, 가식→임시심기, 건답직파→마른논 씨뿌리기, 윤작→돌려짓기, 검란기→알검사기, 순치→길들이기, 사양→기르기 등이 대표적이다.

도는 매월 ‘이달의 순 우리말’ 농업용어를 5개씩 선정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예정이다. 10월에는 농업용어로 생각하기 어려운 다섯 단어(시비, 수도, 위조, 도복, 천식)와 흔히 쓰는 말을 선택해 집중 홍보할 방침이다.

추욱 충청남도 농림축산국장은 “일본식 표기, 한자어 등 어려운 농업용어를 사용하면 농산업 자체가 어려운 산업으로 인식할 수 있다”며 “도민이 쉽게 배우고 접근할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순화 사용하고, 이를 적극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