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 농민 곁으로 ‘성큼’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농민 손 잡고 간다”
가락시장 농산물 품목별 생산자협의회 발족
농민의견 반영·주체적 품목조직 활성화 기대

  • 입력 2019.06.23 18:00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가락시장이 현장의 농민들과 한층 끈끈한 관계를 맺는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 공사)는 지난 18일 전남서남부채소농협에서 품목별 생산자단체 대표들로 구성한 ‘가락시장 농산물 품목별 생산자협의회(협의회)’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가졌다.

협의회는 농민들이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결성한 주체적 품목조직들로 구성됐다. 올해 전국단위 품목단체 조직운동으로 탄생한 전국양파생산자협회·전국배추생산자협회를 비롯해 진도대파협의회·제주당근연합회·한국수박생산자협의회·부추하얀작목반(경남)·둔내작목반(강원, 양채류) 등 우선 13개 단체가 참여했다.

가락시장은 급변하는 유통환경 속에서 최근 거래제도 개선, 시설현대화 등 중대한 개혁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시장 내 이해주체들 간 대립 및 농식품부의 비협조로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김경호 공사 사장은 “농안법(도매시장 근거법)의 근본 취지가 생산자·소비자 보호인데 지금 가락시장은 생산자·소비자를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협의회에서 힘을 합쳐 목소리를 높이면 대한민국 유통을 바꿀 수 있다”며 농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할 뜻을 밝혔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지난 18일 전남 무안 소재 전남서남부채소농협에서 각 품목별 주체적 농민대표들과 함께 ‘가락시장 농산물 품목별 생산자협의회’를 발족했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지난 18일 전남 무안 소재 전남서남부채소농협에서 각 품목별 주체적 농민대표들과 함께 ‘가락시장 농산물 품목별 생산자협의회’를 발족했다.

농민 대표들은 경매제 중심의 현행 거래제를 다변화하려 한다는 공사의 기조설명에 “우리가 할 말을 공사가 다 했다”며 깊은 공감을 표했다. 정관교 둔내작목반 회장은 “지금 상태라면 가락시장은 언젠간 설 자리가 없어진다. 강원지역은 이미 도매시장을 포기하고 메이저 유통업체 등 대안을 찾고 있다. 문제는 그렇게 되면 도매시장의 가격결정기능이 무너지고, 피해는 또 농민이 받게 된다”고 경고했다. 신건승 한국수박생산자협의회 부회장은 경매의 대안 중 하나인 시장도매인제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도 “정산체계는 확실해졌지만 투명성은 의심이 간다. 수박값이 지금처럼 안좋을 땐 영업을 유지하려면 수수료를 속일 수밖에 없다”며 투명성 제고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곽길성 진도대파협의회장은 경락가 상하한제, 품목별 통합경매, 경매사 공영제 등 경매제 자체의 대대적인 개혁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효수 전국배추생산자협회장은 “경매를 하는 도매법인들은 눈꼽만큼도 농민의 편에 있지 않고 사익추구에만 혈안이 돼 있다. 제도개선보다 도매법인들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협의회가 가락시장의 산지 소통창구뿐 아니라 품목단체 조직화의 발판이 될 조짐도 엿보였다. 고광덕 제주당근연합회 사무국장은 “유통구조 개선이 농업 문제 해결의 최우선과제는 아니다. 이 자리를 계기로 산지 품목을 조직화해 전국을 아우르는 조직을 갖추겠다는 목적을 갖자. 조직이 확대되면 더욱 크게, 정부정책에 대한 대응도 가능하다”고 제안해 공사와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또 작기와 품목이 다른 복수 조직이 협력해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에 직접 참여하는 방안이 긍정적으로 논의되기도 했다.

공사는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가락시장 또는 산지에서 최소 분기별 1회 협의회를 진행한다. 협의회는 도매시장 개혁과제 논의, 가격 폭등락 시 공조체계 구축, 유통 및 물류개선 실행대책 협의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차기 회의에서 농민 대표 가운데 의장을 선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