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벗 따라 생활건강] 건강을 위해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입력 2019.05.12 18:00
  • 기자명 나현균(한의사, 김제더불어사는협동조합 대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현균(한의사, 김제더불어사는협동조합 대표)
나현균(한의사, 김제더불어사는협동조합 대표)

‘당신의 몸은 당신이 먹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지금 우리 세대는 무엇을 먹어야 건강해질 것인지를 고민하기보다는 무엇을 먹지 않아야 건강해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대에 살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주위에 먹을 것은 널려 있고 좋다는 것은 너무 많아 과연 어떤 것을 선택해야 진짜 내 몸에 좋을지 알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1. TV나 인터넷을 너무 믿지 마라.

현대 사회엔 어느 음식이 어디에 좋다는 발표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정보들의 맹점은 대부분 실험실에서 갓 분석한 결과들, 그것도 성분들을 중심으로 한 추측성 발표들이란 것입니다. 거기에 상술이 개입하면서 과대포장되기도 합니다. 우리 몸에 적절한 먹거리는 많은 사람들의 임상 경험을 적어도 십수년간은 걸쳐야 비로소 그 효용과 부작용을 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전통적으로 먹어왔던 음식들은 수십년이 아니라 수백년 또는 수천년을 이어오며 우리 몸에 효능과 부작용이 잘 파악돼 있습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음식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고 몸에도 좋습니다.

2. 매일 일기는 못써도 식사일기 만큼은 꼭 쓰자.

식사 후 무엇을 먹었는지 기록하고 그것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생각해 보는 것을 습관화시키면 그것처럼 좋은 식생활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식사를 하고 난 후, 또는 자기 전이나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서 내 몸의 반응, 즉 소화는 잘 됐는지, 속은 편한지, 몸이 붓거나 이상은 없는지 등을 기록하면 좋습니다. 이런 것들이 쌓이다 보면 진정으로 내 몸에 맞는 음식이 무엇이고 그것을 또 얼마나 어떻게 먹어야 내게 정말 좋은지를 스스로 감별해 낼 수 있는 귀중한 보물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3. 체질식을 너무 의식하지 마라.

똑같은 사람도 진단자에 따라 다른 체질로 판정받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하물며 남들이 내 몸에 좋다고 맞춰주는 체질식이 얼마나 효과가 있겠습니까? 자신에 맞는 음식을 자신보다 더 잘 알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스스로 반응을 체크하여 결정하고 무엇이 좋은지 잘 모를 때는 어려서부터 전통적으로 먹어왔던 음식들과 그 조리법에 따르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4. 무슨 음식이건 약이건 효과를 봤다해서 그 양을 늘리려 하지 마라!

우리는 무엇을 먹고 효과를 보면 그 음식이나 약을 마치 불로초인양 많이 먹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부족한 것이 채워지면 약이건 음식이건 더 이상 그것을 필요치 않게 돼 있습니다. 그것이 약이라면 더욱 욕심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반드시 부작용을 가져오게 돼 있습니다. 우리 몸에 어느 특정한 음식이나 약 하나가 불로초 역할을 할 것이란 망상에 젖어들면 안되겠습니다.

5. 장내 미생물을 생각하는 음식을 먹자.

장내 미생물이 좋아하는 전통적인 한국 음식(특히 나물류)을 먹으면 장내 미생물들은 우리몸에 필요한 물질을 생성시켜 우리에게 꼭 보답을 합니다. 장내 미생물을 괴롭히는 항생제나 화학첨가물, 또는 비료, 농약 등이 많이 들어간 식재료는 가능한 한 멀리해야 합니다.

6. 채식만이 답은 아니다.

육류 제품을 경계하는 것은 항생제나 성장호르몬 등 사료의 해악과 지나친 지방질 때문에 더욱 그러한 경우가 많습니다. 육류나 유제품도 유기농이라면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7. 단 것을 경계하고 밀가루 음식에 주의하자.

단 것은 당뇨병은 물론이고 암세포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라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또한 수입밀은 운반과정에 방부처리와 글루텐 함량을 높이기 위한 개량화 등으로 우리 몸에 알러지 등 염증 유발 가능성이 높은 곡물입니다.

8.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소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는 음식은 이웃과 나눠먹는 것입니다. 아무리 좋은 것도 과식하면 그 때부터 역효과가 나기 시작합니다.

항상 소식에 힘쓰고 음식이 남거든 냉장고에 보관하기 보단 이웃 간 나눠 먹는 음식문화를 발전시키기 바랍니다. 음식은 일단 저장하면 영양소 파괴는 물론이고 상하기 쉽습니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오래되면 음식은 상해, 먹으면 반드시 손해를 일으키게 돼 있습니다. 소식하면서 남는 음식은 이웃 간 서로 나누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