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자 없는 낙농, 지속가능성 마련해야

낙농정책연구소, 2018 낙농경영실태조사 결과 발표

  • 입력 2019.01.20 18:00
  • 기자명 배정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배정은 기자]

현재 낙농을 영위하는 축산인의 48.6%가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계자가 있는 농가는 전체의 38.6%에 불과했으며, 60대의 24.6%, 70대의 19%는 후계자도 없고 육성 계획도 없다고 답했다. 지속가능한 낙농을 위해서는 후계인력 육성이 시급하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 연구소)가 ‘2018 낙농경영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1년 40~50대 목장주의 비율이 75.2%였던 것에 비해 2018년에는 48.6%가 60대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목장주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 여기에 후계인력도 육성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생산기반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농가당 평균 부채액은 3억 3,700만원으로 2016년보다 21.2% 증가했다. 부채가 발생하는 이유는 시설투자가 50.5%로 가장 많았고 쿼터매입, 사료구입 등이 뒤를 이었다. 시설투자 중 34% 가량은 축사의 개·보수에 투자했다.

미허가축사, 세척수처리, 퇴비화시설 등 환경문제로 경영에 어려움을 느끼는 농가가 59.7%에 달했다. 다만 미허가축사를 보유한 농장은 61.4%로 2017년보다 13.8%p 낮아진 수치를 보인 반면 폐업을 고려하는 농가도 1.6% 가량 존재했다.

아울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우유 및 유제품 등의 수입과 관련해 낙농전망이 매우 어두울 것이라고 답한 농가가 89.1%였다. 이에 국산유제품시장육성·단체급식확대·환경대책 마련 등의 낙농정책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한편 미허가축사·낙농헬퍼 등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석진 소장은 “목장주의 고령화, 부채증가, 환경규제 강화, FTA로 인한 불투명한 미래가 낙농산업을 가장 위협하는 요소”라고 지적하면서 “낙농 생산기반 유지를 위해서 정책의 주도적인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약 5개월간 지역 축·낙협의 협조를 받아 700호의 표본농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