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시대는 푸드플랜이다

해외 선진국 푸드플랜 구축
공적 먹거리체계 연착륙 중

  • 입력 2019.01.01 00:00
  • 수정 2019.01.05 20:25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2015년 밀라노 엑스포에서 맺어진 ‘밀라노 도시먹거리 정책협약’은 푸드플랜의 세계적인 확대·발전에 큰 계기가 됐다. 포괄적 먹거리정책 수립과 소농 존중, 거버넌스 구축 등 푸드플랜의 표준 이념을 정한 협약이었다. 우리나라도 서울·여수·완주·대구 등의 지자체가 이 협약에 가입해 정부보다 한 발 앞서 푸드플랜 구상에 나섰다.

사실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서방 국가들은 밀라노 협약 이전부터 지역 및 국가단위 푸드플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2007~2008년 세계 식량위기 사태를 전후한 시점부터였다. 미국 시애틀은 지역내 소규모 생산·유통을 지원하면서 로컬푸드 시스템을 확대시켰고, 캐나다 벤쿠버도 지역 주체 간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먹거리 문화 형성을 시도했다. 덴마크 코펜하겐은 농지가 많고 인구가 적은 특색을 살려 공공식재료의 100% 유기농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재단(이사장 박진도) 분석에 따르면 해외 선진 푸드플랜들은 △지역경제와 사회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로컬푸드 시스템 △먹거리 정의 실현과 먹거리 접근성 향상 △먹거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도농 연대 △거버넌스 운영과 여타 지역정책과의 연계 등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띠고 있다.

국가단위 푸드플랜으로는 영국·프랑스·호주 등이 선진사례로 꼽힌다. 농식품부의 소견을 인용하면, 국가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소비자와 생산자의 거리를 좁히고 △국민 건강·영양을 지키면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농업과 식품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을 띠고 있다. 밀라노 협약보다 앞서 구축한 푸드플랜들임에도 하나같이 협약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정부와 지자체의 푸드플랜 수립에 참고할 만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밀라노 협약이 명시한 푸드플랜의 핵심요건 중 하나는 거버넌스를 통한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다.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들이 머리를 맞대다 보면 더욱 독창적이고 효과적인 푸드플랜 모델도 얼마든지 탄생할 수 있다. 서울시와 완주군의 푸드플랜이 세계적인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그 본보기다. 여타 선진국들보다 출발이 늦은 만큼 우리에겐 더 완성도 높은 푸드플랜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