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농촌에도 도시에도, 푸드플랜을 꽃피워라

푸드플랜의 핵심은 지역
로컬푸드·공공급식 기반
지역푸드플랜 구축 절실

  • 입력 2019.01.01 00:00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큰 틀에서 먹거리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정부 부처 간 연계정책을 진행하기 위해 국가푸드플랜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푸드플랜의 핵심은 역시 지역푸드플랜에 있다. 생산부터 소비·폐기까지 먹거리 순환은 실질적으로 지역단위 혹은 지역 간 관계에 의해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국가푸드플랜도 궁극적으로는 지역푸드플랜을 유도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비중있게 수행하는 정책이다.

푸드플랜은 필연적으로 공공급식을 중심으로 짜여진다. ‘먹거리 공적 조달’의 기본이며 가장 대표적인 예가 공공급식이기 때문이다. 안전하고 질 좋은 먹거리를 공공급식에서 시작해 점차 안정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이를 통해 다양한 가치를 도출해내는 게 푸드플랜의 개요다.

다만 지자체의 형태에 따라 푸드플랜의 내용도 조금씩은 달라진다. 생산기반이 풍부한 지자체(농촌형)가 있는가 하면 생산·소비기반을 고루 갖춘 곳(도농복합형)도 있고, 생산보다 소비비중이 월등히 큰 곳(도시형)도 있기 때문이다.

먹거리 공적 조달체계 구축에 도농상생의 가치를 실현한 서울시의 푸드플랜은 밀라노협약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선진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한승호 기자
먹거리 공적 조달체계 구축에 도농상생의 가치를 실현한 서울시의 푸드플랜은 밀라노협약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선진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한승호 기자

도농복합형 지역은 푸드플랜 구축에 가장 유리하다. 지역 내 생산·소비의 이상적인 순환이 가능한 것이다. 로컬푸드 일번지인 전북 완주군이 푸드플랜에 있어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완주군은 탄탄한 로컬푸드 시스템을 바탕으로 푸드플랜을 채워가고 있다. 공공급식 공동식단제와 같은 도전적인 정책까지 시도 중이다. 친환경농업의 메카인 경북 상주시의 경우엔 학교급식 친환경농산물 현물지원으로 이미 학생들의 호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전남 해남군·충남 청양군 등 농촌형 지역의 푸드플랜도 기본적인 구조는 도농복합형과 같다. 지역산 농산물의 공공급식 우선공급과 함께 직매장·직거래장터·농가레스토랑 등 모든 역량을 동원해 로컬푸드를 지원하려는 모습이다. 다만 소비보다 생산 비중이 더 큰 만큼 도시지역과의 연계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건 도시형 푸드플랜이다. 도시형 지역은 압도적으로 많은 소비기반에 비해 생산기반이 취약하다. 시민들에게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다수의 농촌과 연계한 플랜을 세울 수밖에 없고, 따라서 하나의 도시 푸드플랜이 도시와 농촌 여러 지역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1개 도시 자치구마다 1개 농촌 자치시군을 매칭해 먹거리를 조달하는 서울시의 푸드플랜은 세계적으로도 모범사례로 정평이 나 있다. 최고의 인구밀집지역이라는 특성을 살려 도농상생의 가치를 슬기롭게 풀어냈다는 평가다. 대전 유성구의 경우엔 서울보다 양호한 지역 내 생산기반을 최대한 지원하고, 부족분을 옥천·논산·공주·금산 등 인접한 지자체에서 조달하면서 로컬푸드의 이념을 좀더 잘 구현하고 있다.

물론 공공급식이 푸드플랜의 전부는 아니다. 푸드플랜을 추진 중인 지자체들 모두 시민 건강과 환경개선 등 파생가치들을 함께 다루고 있다. 또한 공공급식을 출발점삼아 보다 포괄적인 형태의 먹거리 공적 조달체계를 고민할 여지도 남아 있다.

하지만 아직은 푸드플랜에 열의를 보이는 지자체보다 거의 손을 놓고 있는 지자체가 더 많은 게 현실이다. 농식품부는 이에 푸드플랜 선도 모델을 만들어 보급하기 위해 지난해 9개 선도지자체를 선정·지원했고, 올해 4~5개 추가 선정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 및 먹거리정책의 체질을 대대적으로 개선시킬 푸드플랜은, 정부와 모든 지자체들이 함께 짊어지고 있는 올해의 중차대한 농정개혁 과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