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보전과 생산자-소비자 상생 위해 노력하자”

친환경농업계, ‘2030 친환경농업 혁신 비전’ 선포
남북 유기농업 교류 활성화도 촉구

  • 입력 2018.12.23 18:00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지난 1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30 친환경농업 혁신 비전 선포식’에서 콘라트 하우프트플라이쉬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아카데미 원장이 북한의 유기농업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한승호 기자
지난 1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30 친환경농업 혁신 비전 선포식’에서 콘라트 하우프트플라이쉬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 아카데미 원장이 북의 유기농업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한승호 기자

친환경농업계가 생태보전과 생산자-소비자 상생을 핵심으로 하는 친환경농업을 만들어가기로 했다.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한국친환경농업협회·친환경농산물의무자조금관리위원회 주최로 ‘2030 친환경농업 혁신 비전 선포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엔 전국 각지의 생산자·소비자 학자들이 모여 친환경농업의 지난 20년을 평가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결의했다.

20년간 친환경농업은 면적, 매출액 등 외형적 부분에서 성장세를 보였지만 생산 관행화와 결과 중심 인증제도, 이익 유지 위주의 생산자-소비자 관계 배태 등의 오류도 적지 않았다. 김호 단국대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수입 또는 공장에서 생산된 친환경농자재 사용량이 증가하고, 유기농업의 철학·원칙보다 안전성을 담보로 한 이윤지향형 농업이 이뤄졌다. 아울러 친환경농업도 유통대기업의 시장원리에 편입돼 물질적·경제적 이득 중심으로 이뤄지게 됐다”고 한계를 지적했다.

친환경농업은 2010년을 정점으로 저농약 인증제 폐지, 가격·소득의 정체, 생산여건 악화 등으로 정체를 겪게 됐다. 정책적으로도 우수농산물인증제(GAP)와 친환경인증제가 혼동되고 소비자 관점의 안전성 위주로 친환경농정이 이뤄져, 점차 기존의 생산자-소비자 상생 및 생태농업 보전 등의 원칙에서 멀어지게 됐다.

이러한 반성을 토대로 참가자들은 ‘2030 친환경농업 혁신 비전’을 선포했다. 참가자들은 향후 ‘생태환경보전과 건강한 먹거리로 생산자와 소비자 상생에 기여하는 친환경농업’을 만들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친환경농업계는 남북관계 개선의 방편으로서 친환경농업 교류가 절실하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콘라트 하우프트플라이쉬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IFOAM, 아이폼) 아카데미 원장은 “3일 전 북한을 다녀왔다”며 “여러 어려움에도 북한과 아이폼 간 유기농업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북한 곳곳에 유기농업 시범단지로서 모범농장을 설립하고, 농업기술교육기관의 유기농 기술 역량을 키우는 데도 노력하고 있다”며 아이폼과 북측 간의 유기농업 교류 움직임을 소개했다.

이어 정만철 아이폼 아시아 이사(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부소장)는 “남북관계 개선에 발맞춰 남북 간에도 유기농업을 중심으로 한 농업교류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남북한 유기농업 기반 공동조사 추진, 강원도 안변 일대 두루미 월동지 복원사업 추진, 비무장지대를 생태농업 단지로 활용하는 등의 노력으로 한반도 전역을 생태농업 지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남북·북미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서 미국과 UN의 대북제재부터 해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