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축산과 경종의 연대만이…

  • 입력 2018.11.11 11:26
  • 수정 2018.11.11 19:11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지난 7일 열린 한돈자조금 대의원회는 환경문제에 대한 열띤 논의가 벌어졌다. 참석한 농가 대의원들은 “액비의 유용성을 연구해 농민들이 쓰게끔 해야 한다”, “환경규제에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 “환경문제 예산을 더 늘려야 한다”라며 환경문제에 관한 협회와 자조금의 대응을 묻는 질의를 쏟아냈다. 그만큼 현장에서 받는 중압감이 크다는 의미일 것이다.

기실 어떤 주제로 현장에서 축산농가를 취재해도 결국 환경민원에 관한 호소로 끝맺기 일쑤다. 게다가 한돈농장들은 유독 냄새문제의 주범으로 찍힌지라 지역주민들이 마음의 문을 쉽게 열지 않는다. 때마침 지자체마다 축산규제를 강화하고 언론은 동물복지를 앞세워 농가를 공격하니 앞날이 걱정되지 않을 수 없다.

축산업계에선 당장 발등의 불인 미허가축사 문제가 벅차다 보니 환경과 관련한 논의가 미처 무르익지 않은 감이 있다. 축산농가들이 느끼는 현장 분위기와 약간 시간차가 생긴 게 아닌가 싶다.

이미 환경문제 해결의 가닥은 일정 수준 윤곽이 드러난 상태다. 환경문제는 가축분뇨가 핵심원인이다. 문제를 해소하려면 퇴·액비화 등 축분자원화를 통한 순환농업의 보편화가 이뤄져야 한다. 이는 곧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사료작물 재배가 늘어나는 등 농업구조 개혁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결국, 축산은 농업과 연계돼 돌파구를 열고 농업은 축산을 통해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돼야 한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여러 이익집단의 반발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답은 현장의 축산농가와 경종농가가 갖고 있다.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답을 만들어가는 연대만이 정부의 몰이해와 여러 이익집단의 반발을 넘어설 수 있다. 다름만 생각하지 말고 함께 먹거리를 생산하고 수입개방에 맞선 지난 세월을 돌이켜보면 연대는 가능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