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관련 시민 우려, 나 몰라라 하는 ‘전문가’들

  • 입력 2018.07.08 09:13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지난 3~4월에 걸쳐 진행된 GMO완전표시제 실현 촉구 청와대 국민청원에 21만여 명의 시민이 참여할 정도로 GMO에 대한 우려는 뿌리 깊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계의 적지 않은 전문가들은 여전히 ‘GMO의 안전성’과 ‘식량안보를 위한 GMO 연구개발 추동’을 주장하고 있어, 시민사회의 입장과 상당한 간극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가의 미래, 농업과 식량, 그리고 GMO 대처방안’이란 제목의 국회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워낙 민감한 주제의 토론회라 그런지, 이날 토론회의 주최는 없었다.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가 후원에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이날 행사엔 김지식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이 와서 축사를 전했다. 김 회장은 “나는 GMO를 반대하지만, 일단 GMO를 바로 알고 공부하자는 입장에서 왔다”며 “GMO에 대한 막연한 반대나 찬성이 아닌, 더욱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지표를 토대로 작금의 사회문제에 다가서야 할 것”이라 말했다.

토론회엔 고희종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 박수철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교수, 유장렬 (사)미래식량자원포럼 회장 등이 참석했다. 고 교수는 “팽창하는 종자산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선 미래육종기술에 투자해야 하는데, 잘못된 반GM 정서가 팽배한 상황에서 GMO 관련 사업에 뛰어드는 기업에 대한 반기업 정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 회장은 “GMO는 지난 20여년간 전세계적으로 재배됐고 현재 전체 농지의 12%에서 재배되나 단 한 건의 안전성 문제도 일으킨 바 없다”며 “미국과학한림원이 2016년 발표한 <유전공학작물 : 경험과 전망>에 따르면 시민들의 GMO 위험성 관련 주장은 근거가 없는 걸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GM 작물개발의 지속적 추진을 촉구하면서, 시민사회의 GMO 관련 우려가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그 예시로 지난해 9월 농촌진흥청과 전북지역 시민사회가 GM작물개발사업단 해체에 합의한 사례를 들면서, 중단된 GM 작물개발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한편으로 향후 GMO 문제에 대한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의 소통이 강화돼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는데, 정작 이날 초빙된 전문가 중 GMO 반대 시민사회 측 관계자 및 전문가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코엑스에서 대한급식신문 주최로 열린 ‘2018 우수급식·외식산업전’에선 ‘학교급식, GMO 논란에서 벗어나자!’란 주제로 GMO에 우호적인 전문가들의 강연이 진행됐다. 경규항 세종대 명예교수는 GMO 표시제 확대 문제에 대해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할 수 없고, 실행 시 국제법 위반으로 제소될 수 있다”며 공공급식 상 GMO 사용금지를 위해선 타당한 사유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강연은 학교 영양교사 및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범국민적으로 GMO 완전표시제를 촉구하는 분위기와 너무나 동떨어진 내용이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