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은 증가·귀농은 감소

통계청 ‘2017 귀농어·귀촌인 통계’ 발표
“지역 뿌리 내릴 인프라 구축 시급” 강조

  • 입력 2018.07.01 10:00
  • 수정 2018.07.01 10:04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원재정 기자]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수가 51만6,817명으로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지만, 귀촌인구는 증가한 반면 귀농인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사를 업으로 삼는 것에 대한 부담이 반영된 수치로 풀이된다. 현장에선 귀농·귀촌 정책이 살만한 농촌을 만드는 지역인프라 구축 관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통계청은 지난달 27일 ‘2017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귀농가구는 1만2,630가구로 1.9% 감소한 반면 귀촌가구는 33만4,129가구로 3.6% 증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가구 감소에 대해 2013년 1만202가구에서 2015년 1만1,959가구, 2016년 1만2,875가구로 각각 11.2%, 7.7%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지난해 상승여력이 잠시 줄어든 영향이 있다고 의미를 축소했다. 여기에 고용률 상승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농식품부는 △40세 미만 젊은 귀농가구 증가 △여성 귀농가구주 증가를 의미 있는 변화로 꼽았다.

강동윤 농식품부 경영인력과 과장은 “전체 귀농가구 중 40세 미만 귀농가구 수 비중은 최근 3년간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는 40세 미만 귀농가구 수가 1.1% 줄었지만 비중은 0.1%p 늘었다”면서 “40세 미만 귀농가구는 가족이 동반 이주하는 특징이 있어 농촌인구 유입에 매우 중요한 연령대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 과장은 “비록 지난해 귀촌인구는 늘고 귀농인구가 감소한 결과가 나왔지만, 귀농은 경영체등록 인구수를 기준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오차범위를 감안한다면 큰 의미는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40대와 50대 귀농가구는 각각 4.7%, 4.6% 감소해 농식품부가 의미를 부여한 ‘젊은 귀농가구 증가’라는 의미를 반감시키고 있다. 또한 귀농·귀촌에 실패해 역귀농 하는 인구는 통상 매년 7%인 것으로 전해진다.

2017년 기준 전체 귀농·귀촌인구 51만6,817명 중 귀농인구는 1만9,630명으로 3.8%에 불과하고 대부분 귀촌인구로 구성돼 있는 실정이다.

조원희 상주시농민회장은 “귀농·귀촌정책이 성공하려면, 얼마나 농촌에 내려왔는가에만 목표를 둬선 안 된다.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행복하면 사람은 모여들게 돼 있다. 시골에 좋은 학교가 있으면 학부모들과 아이들이 모인다. 마을 공동체가 잘 운영되는 것도 같은 효과가 있다”면서 “젊은 사람들이 귀농·귀촌하는 유형은 두 가지다. 하나는 농민인 부모세대 기반을 잇는 경우와 아무 기반 없는 경우다. 귀농·귀촌 정책은 기반 없이 농촌에 온 사람들이 연착륙이 가능하도록 보살피는 게 필요하다. 임대주택이나 마을시설 공유시스템, 농사에 안착할 때까지 영농을 돌봐주는 후견인 등 지역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얼마나 농촌에 왔느냐를 내세울 것이 아니라 얼마나 농촌에 정착해 삶의 기반을 다지느냐에 정책적 역량을 쏟으라는 주문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