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땅에 ‘비닐하우스·양파종자’ 보급한다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 2차 회의 개최
극동·중앙아시아, 원예·축산 등 진출분야 다양화 기대

  • 입력 2018.06.23 23:03
  • 수정 2018.06.23 23:20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원재정 기자]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위원장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가 지난 18일 서울 프레스센터 대회의실에서 2차 회의를 열고 신북방정책 전략과 과제, 한-러 혁신플랫폼 구축계획 및 운영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했다. 최근 남북, 북미정상회담이 성공리에 개최되면서 한반도 주변 상황이 변화된 가운데 문재인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농업분야 진출방안도 발표됐다.

이날 2차 회의 전 광화문 북방경제협력위 회의실에서 열린 오전 브리핑에서 이태호 지원단장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 및 제재가 완화될 경우, 물류·에너지·특구 개발 등 남북한과 러시아·중국 등 주변국이 참여하는 초국경 협력사업이 가능해져 대륙과 연결 강화를 통해 북방경제 협력이 보다 활성화 될 것”이라며 4대 목표 14개 중점과제 추진 계획을 설명했다.

문재인정부 신북방경제협력의 핵심은 동북아의 평화 그리고 경제공동체다. 이를 위해 초국적 경제협력 모델사업 구축, 유라시아 대륙철도를 통한 복합 물류망 구축은 물론 환경·의료·농수산 분야 진출 활성화 등을 중점과제로 삼고 있다.

이날 농수산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정일정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국장은 “극동지역 농업생산 기반을 확대하고, 중앙아시아 등 현지 맞춤형 시설원예 진출과 월동형 양파 등 종자보급을 활성화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남북, 북미정상회담이 성공리에 개최되면서 한반도 주변상황이 변화된 가운데 문재인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지난 18일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2차 회의가 열린 가운데 농업분야 진출 방안도 발표됐다. 사진은 북방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수확현장.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최근 남북, 북미정상회담이 성공리에 개최되면서 한반도 주변상황이 변화된 가운데 문재인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지난 18일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 2차 회의가 열린 가운데 농업분야 진출 방안도 발표됐다. 사진은 북방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수확현장.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러시아 서부, 한국 비닐하우스 ‘호평’

신북방경제협력과 관련해 농식품분야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러시아 서부 독립국가연합(CIS)의 시설하우스 보급에 힘을 쏟을 전망이다.

정일정 국장은 “지난해 우즈베키스탄에 6,000만 달러 규모의 비닐하우스를 구축했다”며 국내 선진농업기술을 활용한 극동·중앙아시아 등 지역별 현지 맞춤형 시설원예 진출 확대에 기대감을 내보였다. 이를 위해 온실 설계·시공·종자·농자재·농기계 등 시설전반을 국내 기술로 조직화 해 턴키방식의 수주 및 시공이 가능한 수출조직을 육성할 계획이다.

영하 37도 견디는 양파종자 보급

종자 보급도 확대 추진된다. 농식품부는 종자개발을 위한 한-러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현지 기후에 적합한 종자 개발과 보급에 중점을 둔다.

정 국장은 “2년 전부터 정부에서 연해주에 영농지원센터를 만들고 직원들도 파견했다. 중점 업무는 종자보급과 영농기술 컨설팅 등인데, 연해주의 경우 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시기가 매우 짧아 이런 환경에 적합한 종자를 보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영하 37도를 견딜 수 있는 종자를 개발·보급해 북방지역의 계절적 수급불균형 해소에 기여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실제 농진청 골든씨드프로젝트(GSP)사업단과 러시아 극동농업연구소가 품종 개발과 관련한 공동연구를 하고 있다. 또 월동형 양파종자를 보급해 봄·여름철 공급부족 문제에도 해법을 제시 중이다. 정부는 한국에서 개발한 종자들이 러시아 품종으로 등록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북방지역 농식품 수출확대 주력

우리 기업과 북방지역 기업 간 교류를 확대해 향후 농식품 수출확대를 이끈다는 것이 정부의 큰 구상이다. 지난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한-러 농업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는 양국 기업 38개소가 참가한 바 있다. 블라디보스톡 항이나 카자흐스탄 등에 해외공동물류센터를 지정, 북방지역 농식품 수출확대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국 농기업, 10년 전 북방지역 진출

러시아, 중국 등 북방지역에는 현재 15개의 한국 농기업이 진출해 3만ha에서 연간 8만톤의 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지난 2008년 세계적인 곡물가격 파동 대책으로 정부 지원에 따라 본격 진출했다.

러시아에는 8개 농기업이 진출해 있는데 이 중 7개소가 연해주에 분포해 있다. 이 기업들은 밀, 콩, 옥수수 등 곡물중심의 대규모 농사를 짓고, 개발면적은 2만4,000ha 규모다.

몽골에는 1개 기업이 유채, 채소 등을 재배하고 있으며 1,214ha에 이른다. 중국 진출 기업은 3개소로, 419ha 면적에서 버섯, 블루베리가 주작목이다. CIS 국가에는 3개 기업이 400ha 면적에서 화훼, 토마토 등을 주로 재배한다.

정일정 국장은 “북방지역에 10년 전부터 진출한 기업들은 초기에는 적자였으나 최근 상당수 기업들이 손익분기점을 넘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진출 기업에 자금·기술지원과 함께 진출국 정부와의 협력채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5개 기업에 225억원의 융자를 지원했으며, 연해주에 영농지원센터를 설치해 영농기술 컨설팅 등 진출기업의 정착을 돕고 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북방지역 8개 국가와 농업협력 MOU를 체결해 중국·몽골·러시아와 농업협력위를 개최하는 등 정보·기술 교류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