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농민으로 산다는 건] 여성농민 정책, 지방선거 후보에게 요구합니다

  • 입력 2018.05.20 10:22
  • 기자명 구점숙(경남 남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점숙(경남 남해)
구점숙(경남 남해)

본격적인 지방선거 운동기간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그전까지는 후보를 알리면서 선거조직을 정비하고 조직체계를 세우는 일에 집중했다면, 이제부터는 정책을 말하고 다닐 시기지요? 혹자들은 정책 따위는 필요 없다고, 구도만 좋으면 된다고들 합니다만 때로 좋은 정책이 후보를 대신할 수도 있습니다.

대규모 산업단지 유치로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는 말은 이제 통하지 않지요? 대신 지역의 사회적,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조화롭게 일을 꾸며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모양새인 듯합니다. 농촌지역의 상당수가 여성농민인데 기실 그들을 위한 정책의 대부분은 노인복지 정책으로만 존재합니다. 생산자로서, 직업인으로서의 여성농민 정책은 별다르게 기능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이번 지방선거에서 각 후보들에게 여성농민 문제를 요구해봅시다.

첫째, 직업인으로서 여성농민 인정! 농촌 일자리 창출! 이것을 개별 여성농민으로 국한하면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여성농민이 주가 되는 공동체를 육성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는 생산과 가공, 유통을 한 번 맡겨보십시오. 지형이 달라질 것입니다.

이미 생활력이 확보된 대농가들 외에 소농가와 귀농·귀촌인을 연결해 공동체를 구성하게 해서 지역의 먹거리 체계 안으로 들이면, 훨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자리가 잡힐 것입니다. 복잡할까요? 읍·면당 하나씩만 만들어도 금세 확산될 것입니다. 이걸 누가 추진하냐구요? 그러니까요, 시·군단위에 여성농민정책담당자 1인씩 배치해서 역할하게 해야지요.

둘째, 노동강도가 세서 근골격 질환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닙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력경감을 위한 소형농기계 개발 및 보급을 해야 합니다. 개발만 해서는 여성농민의 손에 가지 않습니다. 내 손으로 해야 직성이 풀리기도 하겠지만 막상은 경제적 부담을 떠안고서 기계를 사기가 어려운 것이지요. 자신을 위해 돈을 쓰는 일에 익숙하지가 않기 때문입니다. 가볍고 조작이 쉬우며 능력이 우수한 값싼 밭고랑 제초기 정도는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셋째, 여성농민 바우처사업 비용, 통 크게 확대합시다. 연 10만원이 뭡니까? 그것도 65세 이하만. 실제 농사일은 70대 초반까지 엄청나게 하잖아요. 새벽부터 저녁까지, 때로 포장 작업할 때면 밤늦도록 일하고, 그 와중에 가사노동 전담, 마을대소사 돌봄까지 여성농민이 사회에 기여하는 정도를 계산하자면 8만원은 너무 인색한 비용이지요. 경기나 충남처럼 20만원, 15만원이어도 후한 것은 절대 아닙니다. 연령도 높여야 합니다.

넷째, 각종 회의구조에 여성의 참여비율을 동수로 끌어 올리겠다는 공약도 멋집니다. 어느 자리이던지 여성이나 남성이 동수의 구성일 때 훨씬 풍성하고 합리적이며 민주적인 회의운영이 이뤄진다는 심리학계 보고서도 있습니다. 경직되고 폐쇄적인 농촌사회의 발전을 위해 고려해봄직 할 일입지요?

또 공동급식 확대도 빼놓을 수 없겠네요. 이밖에도 여러 가지 일이 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이만큼만 던져봅니다. 좋은 일은 따라 해도 후한 점수가 매겨집니다. 정책으로 만나는 후보의 뒷모습이 제일 듬직하고 오래갑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