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량자급률 90% 이상 전망

자체 생산에 부족분은 수입 … 비료·농약 등 공급 원활 추정·과학영농 추진

  • 입력 2018.04.13 13:46
  • 수정 2018.05.06 22:51
  • 기자명 박경철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박경철 기자]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016년 기준 50.9%다. 1970년대만 해도 80% 가까웠지만 이후 농산물 수입개방 정책에 떠밀려 곤두박질쳤다. 이런 가운데 지난 2월 정부에선 2022년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60%에서 55%로 하향 조정했다. 농민들의 한탄이 쏟아진 이유다.

이에 반해 북한의 경우 식량자급률이 90%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식량사정이 어렵다고 알려진 북한이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는 얘기다. 더군다나 앞으로 북한의 식량사정이 더 좋아질 수도 있다며 낙관적 전망을 밝히기도 했다.

전문가들의 분석은 UN 산하기구인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이 북한 당국과 함께 1996년부터 북한의 식량생산량 통계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 자료는 북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객관적 지표로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다. 물론 쌀, 옥수수, 밀 등 곡물생산량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라 분명히 한계도 존재한다.

장경호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소장은 “북에 필요한 생산량이 540~550만톤인데 2013년 503만톤까지 자체적으로 생산했다. 이를 근거로 보면 북의 식량자급률은 92%에 달한다”며 “부족한 부분은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수입해 충당하니 식량사정이 더 좋아졌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의 식량사정이 좋아진 것에서 유추할 수 있는 건 북한의 변화다. 밑바탕이 될 비료·농약·농기계 등 영농자재 공급이 예전보다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로도 금성뜨락또르(트랙터) 공장 등이 시설 현대화로 생산이 잘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또 북을 다녀온 해외동포들도 북한의 거리가 변하고, 사람들의 차림새도 변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북한의 농업이 현 단계에 이르게 된 배경을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근거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로 확인되는 북한의 농업정책이다.

북은 신년사에서 “과학농법을 적극 받아들여 불리한 기후조건에서도 다수확 농장과 작업반 대열을 내리고 과일풍작을 안아왔다. 대규모의 세포지구 축산기지를 일떠세우는 등 잠재력을 과시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 경제발전 5개년 전략 수행의 세 번째 해인 올해 경제전선 전반에서 활성화의 돌파구를 열어 제껴야한다”며 “우량종자와 다수확 농법, 능률적인 농기계를 대대적으로 받아들이고 농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지어 알곡 생산 목표를 반드시 점령하며 축산물과 과일, 온실남새와 버섯 생산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의 곡물 생산량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가니 곡물은 곡물대로 밀고나가면서, 축산, 과일, 시설채소 등 다른 농산물이나 농업분야도 신경쓰고 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건 과학영농이다.

이유진 KDB산업은행 통일사업부 연구위원은 20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북한농업동향 기고에서 “북은 협동농장의 경영정보화를 추진하고, 물 절약형 농법 등 과학농법을 도입하려 하고 있다”며 “특히 축산업이 국가 주요정책으로 강조되고 있는데, 그 첫째 이유는 최근 북한 중산층의 소득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축산물 수요가 증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영양 부족 문제 해결과 화학비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농업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축산업 발전을 통한 축산분뇨 재활용을 해결책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에서 실제로 대규모 축산을 위한 기지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포동판에 만든 방목형 한우단지는 대관령 목장의 10배 정도가 된다는 얘기도 있다. 또한 돼지 등 곡물 사료를 필요로 하는 가축은 감소했지만 토끼·염소·오리 등 초식가축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일련의 북한 농업정책이 지난 2016년 발표한 국가경제 5개년 계획과 맞물려있다고 진단했다. 당시 북한은 계획을 발표하면서 농업에서 5년 내에 식량자급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장 소장은 이와 관련 “지금 식량증가 속도로 보면 꼭 3년이 아니더라도 조만간 빠른 시간 내에 스스로가 식량 자급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며 “남북이 농업교류를 통해 막혀있는 부분을 조금만 도와주면 생산에 있어 벽을 넘어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