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로 평화통일 이루자

각계 각층 함께한 ‘통일쌀보내기운동’
남북교류 재개 위한 공론장으로 작용

  • 입력 2018.04.08 11:27
  • 수정 2018.04.08 11:28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남북관계가 파탄 났던 시기에도 전국의 농민들은 남북농민교류 재개를 위한 사업을 지속했다. 그 주된 매개체는 쌀이었다. 이제 얼어붙었던 남북관계가 해빙되는 시점에서, 농민들은 다시금 통일쌀을 북측에 보내기 위해 준비 중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은 남북 농민의 통일농업 실현을 위한 사업으로서 2002년부터 ‘통일쌀보내기운동’을 시작했다. 이 운동은 남측의 만성적인 쌀값 폭락 문제 해결 및 북측에 대한 식량지원을 통한 민족농업 실현을 목적으로 삼았다. 2002~2008년 동안 끊임없이 진행된 통일쌀보내기사업의 결과, 2008년엔 전국 53개 시·군 12만6,100평 면적의 경작지에서 통일쌀 재배가 이뤄졌다.

그러나 이명박·박근혜 정권은 농민들의 대북 쌀지원 노력마저 가로막았다. 2009~2010년에 몇 번 간헐적으로 쌀을 보낸 이래, 통일쌀은 북으로 넘어가지 못했다. 농민들은 이명박·박근혜 정권 내내 대북 쌀 지원 재개를 비롯한 남북농업교류 복구를 위해 싸웠다.

지난 한 해 동안도 농민들은 각지에서 통일쌀을 정성스레 재배했다. 단순히 농민들만의 통일쌀 재배가 아닌, 좀 더 대중적인 차원의 통일쌀보내기운동을 위해 노력했다. 경상북도 상주시농민회의 경우, 통일쌀 기금을 1인당 1만원씩 모아 5,000원은 적립하고 나머지 5,000원은 전농 중앙에 보냈다. 통일쌀 경작지에서 나온 햅쌀을 수확해 2kg씩 모금 참가자들에게 명절 제사용으로 보내기도 했다.

그 동안 통일쌀 사업을 이끌어온 조원희 전(前) 상주시농민회장은 “통일쌀 경작지에서 매년 손모심기 행사를 진행할 때마다 200~300명씩 참가했는데, 그 과정에서 농민과 시민사회단체 회원들 뿐 아니라 지역 공무원들과 농협 관계자들도 대거 참가했다”고 말했다.

광주 및 전라남도 나주·영암·함평 등의 지역에서도 시민사회 및 공무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통일쌀 사업을 벌여왔다. 이무진 전농 광주전남연맹 정책위원장은 “이명박·박근혜 정권 동안 단절됐던 남북농업교류 재개 여론을 강화하는 장으로서 큰 기능을 했다”고 그 동안의 통일쌀 사업을 평가했다. 충남 논산시농민회처럼 농활 온 대학생들과 함께 통일쌀을 추수했던 곳도, 경기도 여주시농민회처럼 타 지역 청소년들과 퀴즈대회 및 축구경기 등을 벌이며 함께 했던 곳도 있다. 이렇듯 광범위한 대중들과 함께 하는 것이 통일쌀보내기운동의 핵심과제였다.

남북관계가 점차 개선되는 시점에서 농민들은 통일쌀 사업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박흥식 전농 전북도연맹 의장은 “농민들뿐 아니라 도시 소비자들까지 함께하는 통일쌀 사업을 더 키워나가려 한다”며 “향후 이 행사를 잘 꾸려 전북지역의 큰 통일행사로 만들어가고, 평양에서 소비자와 농민들이 함께하는 추수대동제를 여는 게 목표”라 말했다.

한편으로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 이무진 정책위원장은 “광전연맹은 정부에서 매년 50만톤씩의 쌀을 대북 쌀 지원용으로 비축하는 내용을 법제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대북 쌀 지원은 농민 뿐 아니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