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기’ 농촌, 사람 돌아오는 기반 조성해야

[신년특집] 전국 각지서 ‘소멸 위기 지자체’ 거론
무주 등에선 과소화대응인력육성사업 추진

  • 입력 2017.12.31 11:19
  • 수정 2017.12.31 11:22
  • 기자명 강선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강선일 기자]

지방소멸. 2018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결코 먼 미래의 일로만 치부할 순 없는 단어이다. 농촌에서 생활을 영위하는 게 점점 힘들어지니 농촌을 떠나는 인구가 늘고, 농촌의 노령화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에 일부 지역에선 농촌소멸을 막고 생기가 도는 농촌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 농경연)이 2016년 7월 발표한 <2040 농촌전망과 정책방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 각 군의 읍 지역 인구가 면 지역 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경연은 또한 오는 2040년엔 전국 농촌지역의 고령인구(65세 이상)가 40%에 육박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미 벌써부터 각지에서 ‘소멸 위기’ 지자체의 이름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전라북도의 경우, 전주·군산·완주·익산을 제외한 나머지 10개 시군이 30년 안에 사라질 위기라 한다. 또한 지난해 12월 1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발표에 따르면, 경상북도는 농촌 고령화 심화가 현 추세대로 진행되면 향후 30년 내에 도내 23개 시군 중 17개 시군이 소멸될 위험이 있다고 한다. 군(郡)은 물론이고 시(市) 단위의 인구감소도 극심해, 상주·영주·영천 등의 도시는 머지않아 인구가 10만명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인구감소는 각 지역의 공공시설 감소 및 기본적 공공서비스의 유지마저도 곤란하게 한다. 지난해 12월 21일 충북 제천시 스포츠센터 화재참사를 겪으며, 현재 많은 농촌지역에 소방서마저도 제대로 안 갖춰진 사실이 드러났다. 전국 지자체 226곳 중 32곳엔 소방서가 없다는 보도가 나왔으며, 그나마 소방서가 있다 해도 각 지자체의 소홀한 예산 편성으로 사다리차 등 기본 장비마저 태부족한 상황이다.

이 같은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각지에서 여러 방안을 강구 중이다. 전북 무주군 안성면의 경우 청년 농업·농촌캠프 및 덕유산 장터라디오, 직거래장터, 면 소식지 발간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민의 지속적인 관심유도와 도시청년 유입여건 조성,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을 위해 노력 중이다. 해당 사업들은 ‘농촌과소화 대응인력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이다.

안성면공동체활성화지원단 김진호 단장은 “단기적으론 도시 청년들이 지역으로 이주할 수 있게끔 유인책으로서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청년들이 해당 사업에 참여해 농촌에서 전반적 사항 조사 및 주민들과의 접촉을 하는 과정에서 본인이 이 마을에서 잘 지낼 수 있을지에 대한 자기 타진을 할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한 목적”이라며 “한편으로 도시에 비해 각종 복지·문화시설이 부족한 상황에서 농촌에도 더 많은 청년들이 올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게 장기적 목표”라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