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산사태 뒤 달라지는 가금부문 지형도

[2017 농정결산] 예방 및 초동대응 강화 주력
환경개선·동물복지 정책 전진
수출 적신호, 대응책 찾아야

  • 입력 2017.12.22 22:21
  • 수정 2017.12.22 22:22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2017년은 고병원성 AI로 시작해 고병원성 AI로 저물어갔다. 연중 지속된 AI와의 씨름은 1년 만에 가금부문의 지형도를 크게 바꿨다.

지난해 11월부터 확산된 AI는 지난 4월 13일 심각 단계 종료 때까지 1,791개 농장 가금류 3,802만여 마리를 살처분하는 막대한 피해를 기록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농가는 대책마련을 놓고 1년 내내 격론을 벌였다.

그 결과, 예방 및 확산저지에 주력해야 한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대가 형성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방역정책국이 신설됐으며 겨울철 오리농가 휴지기가 올해 시범적으로 실시됐다. AI 발생시 초동방역 조치도 확대 강화됐다.

다시 겨울로 접어든 뒤, 21일 현재까지 농장에서의 AI 발생은 3건에 머물러 있다.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지만 예방과 확산저지에 주력한 대책이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비현실적인 소득안정자금 문제와 휴지기 참여 농가 보상 논란 등을 보면 정부가 방역정책에 협조한 농가의 보호에도 신경을 쏟아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리부문은 사육농가 수가 지난해 3분기 639호에서 올해 1분기 390호까지 떨어지며 생산기반에 큰 타격을 입었다. 올해 3분기엔 사육농가 수가 508호까지 회복됐지만 후유증은 시간이 지날수록 두드러질 전망이다.

고병원성 AI 발생은 국가 재난으로서 범사회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는 축산농장 환경개선과 동물복지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관련정책에 대폭 반영되는 결과를 낳았다. AI 발생과 큰 연관이 없는 부분까지 환경개선과 동물복지를 확대하려 한다는 현장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흐름은 내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2022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5,000호 조성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삼고 농장 환경평가 기준을 국민 눈높이에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또, 농식품부 내 동물복지팀을 신설했으며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제를 늘릴 계획이다.

한편,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가금육 수출사업은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2017년 우리나라가 AI 청정국 지위를 유지한 기간은 10월 13일부터 11월 18일까지 단 37일에 불과했다. 기대를 모았던 대중국 삼계탕 수출은 막혔으며 베트남 등에서 성과를 냈던 성계육 수출도 부진의 늪에 빠졌다.

연진희 대한양계협회 종계부화위원장은 “앞으로 농가에서 성계는 수익이 아닌 비용지출로 바라봐야 할 것”이라며 “비료화 등의 방안을 검토했지만 현재로선 상용화가 어렵다. 성계를 자원화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