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농촌택배, 열쇠는

직거래 4조원 바라보는데 탈 많은 농촌택배
“지자체·지역농협·우정사업본부가 나서야”

  • 입력 2017.12.17 14:43
  • 수정 2017.12.17 14:44
  • 기자명 배정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배정은 기자]

‘돈이 되지 않는’ 농촌의 택배사업은 위축돼왔다. 인구도 적고 고령화된 농촌에서는 수확기 도시로 발송하는 택배를 제외하면 오고가는 택배물량이 도시에 비해 턱없이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농가가 직접 농산물을 판매하는 직거래가 늘면서 택배사업에서 소외돼있던 농촌지역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농촌의 택배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농협이 나서야 한다.

중국은 지난해 정부가 ‘택배 농촌 진출사업’을 실시하면서 주요 택배기업들이 농촌 진출을 강화했다. 이에따라 택배기업의 농촌지역 보급률이 80%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5억9,000여명에 달하는 농촌인구의 기본적인 택배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농촌지역 택배량은 80억건에 달했다.

중국우정은 농촌지역에 23만3,000개의 점포를 통해 농민들에게 온라인 쇼핑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중국이 농촌에 택배사업을 진출시킴으로써 도시와 농촌 간 상호 소비를 촉진, 지역 사이의 격차해소에 일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농업의 6차산업을 내세워 농산물과 그 가공품의 생산과 직거래를 장려해왔다. 정부는 2015년 2조3,864억원인 농산물 직거래 규모를 2021년까지 4조원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농가도 소득적 측면에서, 도시의 소비자는 저렴하고 믿을 수 있는 농축수산물을 제공받기 위해 직거래 선호도가 늘고 있다. 그러나 직거래에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발송의 불편함과 배송사고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비싼 택배비가 부담인 농가를 위해 지자체가 택배비 지원사업을 운영하거나 일부 지역농협이 택배서비스에 나서고 있지만 근본적 해결방안이 되지는 못하는 모양새다.

정영호 자주농업연구소장은 “농산물 판매를 활성화시키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직거래 배송 문제를 안정적으로 풀어야 한다”며 “농협은 농민들을 위해 만든 협동조합이다. 농협이 손해를 보더라도 택배사업에 직접 진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협중앙회가 투자하면 도 차원에서 보조비를 지원하고 시군이 거드는 형식이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소장은 또한 “이것이 어렵다면 농협이 현재 택배사업에 우회적으로 진출했지만, 전국적으로 이를 확대하고 장기화시키는 것이 차선책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채상헌 천안연암대학 친환경원예과 교수는 지난 2014년 우체국 택배요금이 큰 폭으로 인상되자 농림축산식품부나 지자체가 우정사업본부와 관련 대책마련에 적극 나서야한다는 의견을 제기한 바 있다. 아울러 우체국택배가 농산물 택배서비스에 대한 규정을 제정해 민간 택배사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