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농촌, 급식으로 하나되기

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생산자-구매자 하나로 묶어

  • 입력 2017.12.08 16:13
  • 수정 2017.12.08 16:14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지난 4~5일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도농상생 이구동감 소통마당’에서 1대1 공급협약을 맺은 서울시 자치구 및 지자체장들이 단상에서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한승호 기자

공공급식은 통합 먹거리정책(푸드플랜)의 꽃이다. 푸드플랜이 지향하는 가치와 성과들을 가장 가시적이고 종합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매체기 때문이다. 서울시의 ‘도농상생 공공급식’ 또한 서울시 먹거리 마스터플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올해 첫 발을 내딛은 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은 기존의 학교급식보다 진일보한 식재료 공급시스템을 자랑한다. 학교급식이 전국 11개 생산자단체로부터 식재료를 일괄 취합해 분산하는 방식이라면, 공공급식은 서울의 자치구와 농촌의 시군이 1대1 매칭을 통해 직거래하는 방식이다.

1대1 매칭 방식은 중소가족농의 안정적인 생산을 돕는 동시에 생산자와 구매자의 접점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도농상생의 목적에 보다 가까이 다가간 형태라 할 수 있다. 올 상반기 강동구-완주군을 시작으로 하반기 성북구-담양군, 강북구-부여군, 도봉구-원주시, 노원구-홍성군, 금천구-나주시 등 현재 총 6개 매칭이 이뤄져 있다.

생산자와 구매자는 서울시가 마련하는 워크숍을 통해, 또 개별적인 교류를 통해 대면 기회를 갖는다. 여러 차례 만남을 거듭하며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거래에서 불편한 부분들을 맞춰 나간다. 더러 대기업 유통 서비스를 더 편하게 느끼는 구매자도, 공공급식 외에 독자적 판로가 충분한 생산자도 도농상생의 가치에 공감하며 관계를 굳게 유지해 가고 있다.

이보희 서울시 친환경급식과장은 “먹거리기본권은 소비자만의 권리가 아니라 생산자가 지속 생산을 위한 적정가격을 받을 권리도 포함한다. 구매자들이 생산자를 만나며 그들에 대한 신뢰와 이해도를 높여 가는 모습을 볼 때 보람있다”고 말했다.

학교급식은 고등학교를 제외하곤 이미 일정 궤도에 올랐지만 공공급식은 확대 가능성이 좀더 크다. 현재 서울시 공공급식 대상인원은 2만명이 채 안될 것으로 추산되지만 서울시내 어린이집·노인복지시설 등의 이용인구는 약 90만명이다. 공공급식 확대 잠재력은 곧 도농상생 가치의 확대 잠재력과도 같이 볼 수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처럼 새로운 차원의 협력과 상생관계가 대한민국을 훨씬 업그레이드하고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며 “도농상생 공공급식 사업이 내년엔 굉장히 본격화될 것이며 후년엔 서울시 25개 자치구가 모두 참여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