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육우 무너지면 낙농·한우도 위기”

최현주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위원장

  • 입력 2017.04.21 14:57
  • 수정 2017.04.21 15:01
  • 기자명 배정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배정은 기자]
 

육우농가를 위한 정책은 없다.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의 직원연락처 검색란에 ‘육우’를 검색하면 테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온다. 육우를 전업으로 하는 농가는 50농가도 되지 않는다. 위기가 만성이 된 육우산업을 지키고자 고군분투하는 최현주 육우자조금관리위원장을 만났다.

 

올해로 4년째 육우자조금관리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임의자조금에서 의무자조금으로 전환하는 데에만 5년이 걸렸다. 수익이 좋지 않은데다가 구제역 등 질병이 한 번 발생하고 나면 대의원을 하던 농가도 어느 사이에 폐업해있고…. 임시자조금 때부터 치면 육우자조금에만 10년을 매달렸다. 그래도 임의자조금에서 의무자조금으로 전환할 때 육우만을 위한 조직을 만들었다는 기쁨이 컸다.


 

육우농가의 최대현안, 여전히 판로개척과 이미지 개선인가?

여전히 숙제다. 온라인 판매를 하고 있지만 공산품이 아니다보니 애로사항이 있고, 소비자가 인식하는 육우의 이미지는 나아진 것 같으면서도 크게 나아진 것이 없다. 아직 일부 영양사들까지 육우가 젖소라서 질기고 맛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다른 축종과 같이 무허가축사, 후계농 육성도 중요한 사안이다.
 

단체급식이나 군납은 어떤가?

단체급식이 저조하다. 특히 육우농가가 많은 경기도에서 급식이 잘 됐으면 하는데, 경기도에는 G마크를 획득해야 납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조건이 까다로워 인증을 받은 농가가 적다. 군납은(장병 1인당 1일) 11g이면 충분하다. 사육두수가 적고 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군납이 더 늘어나면 유통구조가 깨질 수 있다. 대형마트에서 육우를 만나기 어려운 것도 그 이유에서다. 그래도 조만간 하나로마트에서 육우 LA갈비를 팔기로 했다.

 

육우 명칭을 바꾸기로 한 이유는?

육우는 젖소고기라는 소비자의 오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일본에서는 육우에 ‘국산약우(국산어린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육우도 우리나라에서 나고 자란 소다. 다만 품종이 다를 뿐 한우와 같은 등급제를 적용하고 있다. 마블링이 적어 한우보다는 등급을 낮게 판정받는다. 국내에서 공급되는 쇠고기의 3~4%에 불과하지만 단백질 공급원이자 낙농 생산기반이다.

 

육우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하는 기회가 적은 것 같다.

낙농육우협회에 육우분과위원회가 있지만 영향력이 크지 않다. 그래서 지역 시·군지부를 육성하려고 하는데 생각처럼 쉽지 않다. 앞날을 예측할 수도 없고 당장 생계도 어려우니 폐업을 하거나 다른 축종으로 전환하는 농가가 많기 때문이다. 현재 육우만 사육하는 전업농은 전국에서 50농가도 되지 않는다. 정부에서도 육우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는다. 그러나 육우농가의 붕괴는 결국 낙농과 한우의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