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농산물 직거래사이트 ‘하이팜’은 살아있다

구윤회 하이팜연합회장

  • 입력 2016.08.12 11:12
  • 수정 2016.08.19 10:27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하이팜’은 농촌진흥청이 2000년을 전후해 구축하고 10년 이상 운영해 온 농산물 직거래사이트다. 그런데 지난 2014년 농진청이 돌연 운영과 지원을 끊어버리면서 사업은 오롯이 우왕좌왕하던 농민들의 손에 떠넘겨졌다. 정부 사업에서 뜻하지 않게 농가 자생적 사업으로 바뀌어 버린 하이팜. 2년이 지난 최근 상황을 들여다보기 위해 구윤회 제2대 하이팜연합회장을 만나봤다.
 

구윤회 하이팜연합회장

하이팜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부탁드린다.
농진청이 매년 1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서버 관리업체에 위탁 운영하던 농산물 직거래사이트다. 농진청에서 농민 개인별로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고 이들을 하이팜이라는 사이트 하나로 묶어 직거래농민 통합쇼핑몰을 만든 것이다. 여성농민들이 참여하는 ‘우먼팜’도 있었는데 지금은 하이팜으로 합병됐다.

어쩌다가 농민들이 직접 운영하게 됐나.
2013년을 끝으로 정부가 하이팜 예산 1억원을 끊어버렸다. 열심히 참여하던 농가들이 그냥 공중에 붕 떠버리게 된 것이다. 결국 2014년 3월 전국 하이팜 농가 200명이 대전에 모여 연합회를 조직하고 스스로 하이팜을 이끌어 나가기로 했다. 인당 24만원의 회비를 걷어 이 중 11만원은 업체를 재선정해 서버를 관리하는 데 쓰고 나머지 13만원은 교육·홍보비 등 운영비로 쓰고 있다.

정부가 사업에서 손을 뗀 이유는?
가입농가가 2,000명인데 실거래농가가 200명뿐이라 비효율적이라는 게 이유다. 그런데 하이팜은 한때 200농가가 연간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던 사이트다. 1억원을 들여 100억원 매출을 올리는 게 비효율이란 건 납득할 수 없다. 탄탄대로를 달리던 차에 이명박 정부 때부터 시스템에 갑자기 갖은 오류가 생기면서 사이트가 침체돼 매출이 30억원까지 떨어졌고 박근혜 정부가 결국 지원을 끊어버렸다. 농산물 수출국의 눈치를 보는 정부가 직거래를 못마땅해 해서 방해공작을 편 것이 아닌가 하는 게 개인적인 의혹이다.

농가가 운영을 맡은 2년간의 상황은 어땠나.
새로운 업체에서 서버를 다시 구축하는 것도 힘들었고 업체에 지불하는 거래수수료를 조정하는 문제도 복잡했다. 새로 만든 시스템은 과거 농진청에서 하던 것에 비해 사용법도 어렵다. 농산물 이미지와 설명 문구를 써서 판매를 올리자면 두 시간은 걸린다. 이런저런 이유로 200명 가까이 되던 회원은 지금 106명으로 줄었고 운영이 순탄치만은 않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하이팜을 지키는 이유는?
하이팜의 목표는 두 가지로 생각한다. 우리농산물 소비를 확대해 국민건강에 기여하는 것, 그리고 농민들의 소득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온라인 직거래는 소비자와 농민이 만나는 중요한 접점이 될 수 있다. 내년부터는 가입비를 면제해 농민들의 참여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하이팜이 활성화되면 분명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