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농업으로 식량주권 지키자

  • 입력 2016.06.19 00:33
  • 수정 2016.06.19 00:46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홍기원 기자]

본지는 지난 2013년 김필주 지구촌농업협력 및 식량나누기 회장에 이어 이번엔 김순권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을 인터뷰했다. 모두 옥수수 종자 연구로 방북해 남북농업협력에 헌신한 공통점이 있다. 2013년이나 지금이나 남북관계가 꽁꽁 얼어붙어 협력 재개의 앞날이 보이지 않았지만 이 노학자들은 꿈을 포기하지 않고 있었다.

두 학자의 공통점은 또 있다. 남북농업협력이 곧 자급률 향상의 지름길이라고 본 것이다. 김필주 회장은 “이상기후로 인한 천재지변과 인공적 재해로 농사를 못 짓는 상황에 대비하려면 최소 식량자급률이 70%는 돼야 한다”며 “그러려면 식량지원을 넘어 이북에 길도 놓고 관개수로도 설치하는 등 기반시설 확충에 대대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순권 이사장 역시 “통일에 옥수수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남의 쌀과 이북의 옥수수를 맞바꾸는 발상을 제시했다.

두 제안은 곧 우리민족의 식량주권 지키기와 연결된다. 이북의 현장에서 직접 협력사업을 진행한 베테랑 학자들의 이와 같은 제안을 정부와 민간 모두 남북농업교류에 참고해야 하겠다.

그러나 정부는 너무 멀리서만 식량주권 수호의 길을 찾고 있다. 이명박정부 때부터 해외농업개발이란 미명 아래 동남아와 중남미에 조사단을 파견하고 해외에서 직접 식량을 생산해 공급하는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해외농업개발의 긍정적 효과를 부정할 생각은 없다. 실제 지난 2일엔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트카체프 러시아 농업부 장관과 ‘한·러 연해주 농업개발 공동연구’ MOU를 체결하는 등 진전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해외농업개발이 대기업의 농업진출의 우회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불안은 떨쳐지지 않는다. 과연 식량위기 때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우리가 식량을 공급받는 대신 무엇을 줘야할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민족이 안정적인 식량주권을 영위하려면 결국 남북농업협력이 대전제가 돼야한다. 남녘 농민들이 남북농업교류가 끊긴지 오래임에도 매년 통일경작사업을 전국적으로 펼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터다.

더 많은 민간농민단체들이 나서 남북관계경색으로 지체된 교류협력사업을 준비하면 어떨까. 70대 노학자들도 통일농업의 꿈을 굽힘없이 얘기하고 있다. 그러면 내년 6.15공동선언 17돌엔 남북농민들이 웃으며 다시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