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장축협 사태 불러온 생축사업, 문제는?

  • 입력 2016.04.29 11:35
  • 수정 2016.04.29 11:51
  • 기자명 안혜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안혜연 기자]

“농가의 소작농화” 사육주권 위협하는 위탁사육 

축협의 위탁사육은 자기 돈으로 소를 키울 여건이 안 되는 농가를 위해 축협이 소를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축협이 송아지를 농가에 공급하고 농가가 비육한 후 출하할 때가 되면 축협이 다시 소를 가져가는 식. 현재 전국 35개 조합에서 위탁사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271농가가 이에 참여, 2만9,192두를 사육하고 있다. 취지는 매우 바람직한 것 같지만 문제는 협동조합인 축협이 농가를 소작농화 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소를 팔아 생기는 이윤은 축협으로 돌아가고, 농가는 노동력을 제공해 일정 소득을 축협으로부터 받는 형태는 기업의 계열화를 연상시킨다. 

“우량 송아지 공급소, 사업장으로 변질” 생축장 

축협의 생축 사업 중 하나인 생축장은 지난 1990년 초 등장했다. 생축장의 목적은 번식우를 사육해 우량 송아지를 생산하고, 비싼 송아지를 구입하기 어려운 농가에 이를 공급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생축장이 등장한지 26년째인 지금, 전국 대다수의 생축장은 번식우 대신 비육우로 사업 방향을 틀었다. 지난 1월 기준 전국 69개 조합, 89개 생축장에서 한우 총 2만6,792두를 사육 중이며, 이 중 번식우는 7,162두, 비육우 1만9,630두다. 비율로 따지면 번식우는 27%, 비육우는 73%에 해당한다. 생축장의 제일 큰 문제는 축협이 농가와 직접적인 경쟁을 하게 된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