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맘 놓고 출산할 수 있는 환경 필요하다

  • 입력 2015.10.30 13:55
  • 기자명 박선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번기, 한창 일손이 부족하고 바쁠 때 출산을 한 여성농민들은 맘 편히 산후조리를 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와 지자체는 농번기 일손을 돕고 여성 농민들의 모성보호를 위해 산후 영농지원도우미 제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거창의 경우 도우미가 거창, 산청, 함양 세 지역을 맡다보니 도우미 신청이 어려운 실정이다. 조금만 교통이 불편해져도 도우미가 파견을 꺼리고 있다. 때문에 제도의 실효성엔 의문이 든다.

보건복지부는 출산 여성에 어떤 지원을 할까. 복지부는 지역에 상관없이 출산 장려 방안으로 경제적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출산축하금, 고운맘카드 등의 정책이 있는데, 50만원 정도를 지원해 여성농민들은 이를 양육비에 쓰거나, 출산 전 진찰비용으로 쓸 수 있다. 취재한 여성농민들은 모두 출산축하금을 받은 적이 있고, 고운맘카드를 사용한 경험도 있다고 했다. 농촌은 출산 환경이 도시보다 좀 더 열악하다보니, 지원금이 조금 더 많은 정도다.

그러나 초음파 검사를 받고 싶어도, 신생아를 데리고 병원으로 가고 싶어도 산부인과와 소아과가 없어서 1시간 걸려 인근 도시로 나가야 하는 실정이다. 한 여성농민은 “지원금으로 1,000만원을 주든, 2,000만원을 주든 아이를 낳는 게 힘든 거지 지원 금액은 중요하지 않다”며 “아이를 걱정 없이 분만할 수 있게만 해 달라”고 말했다.

농촌지역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접근성의 한계에 있다. 농촌 여성들은 교통이 불편하다보니 여러 가지 문화와 복지 혜택을 못 받는 실정이다. 출산도 예외가 아니다. 보건 의료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출산장려금 지원은 일시적일 뿐 근본적인 농촌 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도우미 또한 일시적 처방에 불과하다.

농촌 지역은 아직도 출산을 위한 인프라가 확충되지 않았다. 도시 지역의 젊은 여성들이 출산을 안 하기로 선택했다면 농촌 지역의 여성들은 농촌에서 출산을 하고 싶어도 ‘못’하고 있다. 농촌지역의 보건 인프라는 점점 발전하고 있다지만 농촌 여성들은 여전히 출산과 산후조리를 위해 도시로 원정을 떠나고 있다. 농촌은 기본적인 인프라 확충부터 시급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