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신품종 연구비 1,000억원, 보급률은 ‘절반’

수요자 없어 보급 실패
“작물별 시장특성 파악해 전략적 지원 이뤄져야”

  • 입력 2015.08.30 11:39
  • 기자명 전빛이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정신문 전빛이라 기자]

농촌진흥청이 국산 품종개발 연구에 1,000억원을 투입하고도, 농가에는 개발된 종자의 절반도 보급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황주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최근 농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진청은 지난 2010~2014년까지 5년간 벼, 채소, 과수, 화훼, 인삼 등 16개 대상작물의 품종개발에 1,069억원을 사용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농진청이 개발한 556개 품종 가운데 절반이 넘는 296개 품종이 농가에 보급되지 않았다.

신품종 개발은 국내 재배환경에 적합하고 소비자 기호에 맞는 종자나 묘목을 보급, 수입 품종을 대체하고 우리 농업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사업이다. 농진청에서 개발한 품종은 국립종자원, 농업기술센터 또는 지자체 등을 통해 농민과 가공업체에 보급된다.

신품종 개발 후 보급까지 3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해도, 2010년 개발된 품종 가운데 26.1%, 2011년 32.4%는 아직까지도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은 했지만 수요자가 없어 보급에 실패한 셈이다.

특히 160억원이 투입된 채소의 경우 5년 평균 미보급률이 74.5%에 달하고 135억원이 들어간 과수도 개발품종의 78.6%를 보급하지 못해 16개 대상작물의 평균 보급률인 46.8%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수준이다. 채소와 과수에 대한 지원액은 벼 199억원을 뒤잇는다.

이에 농진청 관계자는 “과수는 특성상 한 번 심으면 수십 년간 과수면적이 유지돼 신품종을 심기 어렵고, 채소는 워낙 종류가 다양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며 채소와 과수 신품종 보급률이 낮은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황 의원은 “작물별 재배환경과 시장특성을 파악해 전략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개발해도 보급이 어려운 작물보다는 벼나 누에, 양봉 등 보급이 쉬운 작물에 대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수백 개의 품종을 개발해도 수요가 없으면 그 기술은 썩은 것”이라며 “현장 농민과 시장의 소비자가 원하는 품종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