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특집-선거 현장을 가다] 금권·인맥 ‘틀’ 깨기 힘든 조합장 선거

농협 불만 많지만 정책선거로 이어지지 않아, 고령화·경제적 위축·관행적 분위기 등 원인 다양

  • 입력 2014.12.27 15:56
  • 수정 2014.12.27 21:03
  • 기자명 박선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합장 선거의 표는 고정적이다. 이미 농촌 사회서 지연, 인맥 등으로 점철된 선거가 고착화됐기 때문이다. 농협에 대한 불만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지만, 이 불만이 정책선거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김천 A농협 B조합장은 조합장 선거에 재출마한다. 지난 해 여성 직원 성희롱 사건으로 물의를 빚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다. 새로운 후보가 쉽게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직 조합장이 우세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인맥이다. 조합원 수가 700명 남짓 되는 작은 선거구에서 표몰이에 효과적인 것은 정책보다 표를 직접 ‘관리’하는 것이다.

이상혁 김천시농민 회장은 “조합장의 경영 능력과 실적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조합장과 어떤 식으로든 한 번 관계를 맺으면 배신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말했다. 새로운 후보가 아무리 좋은 정책으로 승부를 본다 해도 이미 지지자가 형성된 현 조합장을 쉽게 이길 수 없는 이유다.

다른 지역도 별반 다르지 않다. 한기형 아산시농민회 부회장은 “조합장선거는 고정돼 있고 조직선거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과 공약으로 하자는 말은 계속 나오지만 실상 술 한 잔 먹고 밥 한 끼 먹고 형님 하는 게 더 효과적이다”며 선거 현장 실태를 설명했다.

선거가 인맥에만 의존하면서 정책에 대한 관심도 사라지고 있다. 김부연 의령군농민회 협동조합개혁위원장에 따르면, 의령지역 농민들은 조합장에 대한 평가조차 하지 않는 실정이다.

조합장이란 직 자체가 상징적인 자리로 관행화됐기 때문에, 주민들은 조합장이 어떤 정책을 수립하고 농민에게 어떤 도움을 줬는지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금권, 인맥에 의존하는 선거 분위기는 고착화되고 있다.

천안 지역농협 조합장 선거에 출마할 예정인 C씨는 고착화의 원인으로 고령층의 기득권 유지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본다. 그는 “젊은 층이 변화에 대한 갈망이 커도 60~80대 고령의 조합원들 사이에선 그 열망이 적다”며 “조합에서 기념품도 주고 관광도 시켜주는 등 이런 것에 익숙해지게 되면 현장 분위기는 변화의 소지가 적어진다”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는 누군가가 나서서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문제제기를 하는 순간 암묵적 동의에서 벗어난 ‘배신자’로 낙인찍히기 때문이다.

한편, 김부연 협개위원장은 경제적 위축을 원인으로 꼽는다. “농촌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다 보니까 이걸 함께 바꾸기보다 저마다 살기에 급급해지는 것 같다”며 농촌 분위기 자체가 위축된 점을 꼬집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