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은 사회적 경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산업적 대안 조명 VS 농업적 가치와 현실도 고려해야

  • 입력 2014.11.21 09:45
  • 수정 2014.11.25 10:28
  • 기자명 박선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도시농업을 통해서 사회적 경제를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짚는 자리가 마련됐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생이모작’을 주제로 한 도시농업 포럼이 지난 19일, 서울시민청 워크숍 룸에서 열렸다. 지난 17일부터 3일간 서울특별시 주최로 열린 2014 국제 사회적 경제 협의체 창립총회 및 기념포럼 중 하나다.

우리나라 베이비부머가 약 700만 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귀농본능을 가진 이들이 도시농업을 통해 사회적 경제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에 따른 것이다. 사회적 경제란 이윤의 극대화가 최고의 가치인 시장경제와 달리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기조발제에 나선 키쿠치 토시오씨는 일본 타치가와시의 사례를 통해 은퇴자와 고령자들이 도시농업에 기여하는 역할을 설명했다. 타치가와시는 은퇴자, 고령자들의 농업활동을 통해 야채, 과수, 화훼, 축산물 등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다품목저생산 체제로 변화한 곳이다. 키쿠치 토시오씨는 “생산물을 판매하는 직판장을 통해 도시농업 생산자들은 도시 고령자, 청년들과 연계해 지역과 연대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덧붙였다.

백혜숙 에코11 대표는 도시농업이 선순환 6차산업이 될 것이라 기대했다. 우선 도시농업이 생활쓰레기, 에너지, 공동체 붕괴, 도시열섬 등의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생물다양성, 토종씨앗 보급 등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도시농업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템이 새로운 직업이나 직무로 연결돼 사회공헌 일자리를 개발할 수 있다”며 산업화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도시농업이 사회적 경제보다 농업이 처한 위기를 해결하는 데 가치를 두어야 한다는 이견도 나왔다. 안철환 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는 “도시농업이 도농상생으로써 농업과 농촌을 살리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FTA 등 수입농산물이 시장을 잠식한 상황을 들며 “사회적 문제 해결 이전에 1차 산업으로써 생산에 대한 대안이 없으면 도시농업을 통한 6차 산업화는 한계가 있다”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사회적 경제를 논하기 이전에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먼저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회적 경제로 도시농업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다. 최영식 문래텃밭 텃밭지기는 “도시농업이 활성화되려면 인프라 구축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실제 텃밭 등 도시농업을 할 공간과 재정 등이 확보되지 않으면 도시농업 진입이 어렵기 때문. 또한 개인의 텃밭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이 충분치 않은 점도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