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산토, 그들의 방식

  • 입력 2014.09.21 21:08
  • 기자명 한도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5월 필자의 과수원은 저농약인증을 스스로 취소했다. 과수원 주변 도랑에 제초제를 쳤다는 이유로 인증취소 등 처벌을 통고받았기 때문이다. 규정을 어긴 것은 사실이나 생각해 보니 억울하기도 하다. 쓰지 말아야 할 제초제를 쓴 것이 탈이긴 하나 그 배후엔 멀리 몬산토가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게 보면 저농약인증이 2015년 말에 종료되는 것도 같은 줄기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지난 8월 KBS에서 방영한 ‘유기농업의 진실’이 원인이라면 원인이다.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담당자들이 전국을 뒤지고 다니게 되니까 농관원이 일제 조사를 시행했고 거기에 딱 걸리고 말았다. 무슨 변명이 필요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명을 늘어놓는 것은 GMO의 문제가 실로 심각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GMO에 대한 인식은 일부에게만 있다. 생산자 소비자 모두가 GMO의 실태를 모르고 있다. 정부와 독점자본에 의해 점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데도 누구도 인식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GMO문제는 농업을 생명산업으로 변화시킬 것이냐 자본의 먹잇감으로 내어줄 것이냐의 갈래길에 서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 포함식품의 규제는 말할 것도 없고 GMO 표시제도 마저 국회에 발이 묶여 있다. 이 모든 것이 몬산토의 전략 전술이라면 이해가 가는가.

주목하고 살펴보아야 할 것은 우크라이나 사태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식량창고다. 우크라이나에 축출된 대통령은 반GMO정책을 고수한 사람이다. 유럽전체의 분위기는 반GMO다. 그러니 우크라이나에 GMO를 상륙시키면 자동으로 동유럽에 GMO농산물이 들어가는 것이다. 이는 전체 유럽으로의 돌파구가 되는 것이다. 이를 노린 몬산토는 우크라이나에 자신들이 보유한 용병부대를 투입 전대통령을 축출한 것이다. 물론 현대통령은 친서방의 입장인 GMO찬성파다. 이는 푸틴의 반GMO정책을 무력화 시키는 것으로 푸틴은 러시아계인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2개주에서 분리 독립을 지지 엄호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농산복합업체인 몬산토가 세계의 정치 경제를 주무르며 자신들의 이윤을 확장해 가는 방식은 소름끼칠 정도로 무서운 일이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이들의 장학생이거나 후원금을 받는 정치인, 관료, 학자들이 요직에 있다. 이들은 자본의 이윤을 위해 싸우는 총 없는 용병들인 셈이다. 지난 8월 방영한 KBS의 유기농의 진실은 누구의 후원으로 이뤄졌을까? 김제남 의원이 제출한 GMO표시법이 국회에 떠돌아다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곡물 수입기업들이 국제선물시장 엘리베이터 구입에 소극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몬산토의 먹잇감이 된 것이다. 쌀의 완전개방은 그것을 의미한다. 이 땅엔 이제 GMO쌀이 자릴 잡을 것이다. 소비자의 무관심은 그들의 방식인지 모른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