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또다른 힘, ‘치유’

농경연,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현황과 전망 심포지엄 개최

  • 입력 2014.06.13 11:37
  • 수정 2014.06.13 11:43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먹거리 생산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농업이 현대사회에 ‘치유’ 기능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최하고 (사)도시농업포럼이 주관한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현황과 전망’ 심포지엄이 9일 국회도서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각박한 경쟁으로 스트레스, 우울증 등이 늘어나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가장 높아진 우리나라에서 농업이 가진 치유기능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생활의 질 향상을 도모하면서 농업 활로의 계기를 찾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최하고 (사)도시농업포럼이 주관한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현황과 전망’ 심포지엄이 9일 국회도서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농업의 치유기능과 도농상생’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업은 생산농업과 생활농업 2가지 측면이 있는데, 최근 도시민들이 텃밭, 가정원예, 직거래 등을 통해 생활농업으로서의 치유기능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텃밭면적과 이용자수 추이만 봐도 2010년 10ha, 15만3,000명에 이르던 규모가 2012년 558ha, 76만9,000명으로 늘고 있다. 농식품부는 2017년경엔 텃밭면적 1,500ha에 이용자를 200만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김 연구위원은 “농업의 치유기능을 통해 도시와 농업이 상생하는 전략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시민들의 농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직거래 확산, 농업체험 등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김경미 농진청 연구관은 보다 직접적인 ‘치유농업’을 설명하며 국내 정착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김 연구관은 치유농업에 대해 “농업·농촌자원 또는 이와 관련한 활동과 산출물을 활용한 치유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이라고 개념을 정리하며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한 법안 제정과 정책은 물론 치유농업 민간자격의 국가 자격화, 양성기관 지정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13년 농진청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치유농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평가액은 1조 5,599억원에 이른다.

치유분야에서 앞장서고 있는 산림청의 경우 지난 2006년 6월 (사)한국산림치유포럼을 설립한 이래 2011년 대학에 ‘산림치유학’ 석사과정이 개설될 정도로 체계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휴양치유과 과장은 “산촌마을과 치유의 숲을 연계한 산림치유마을을 육성했다”며 “아토피 특화 산촌마을로 유명한 양평 명달리의 경우 연 방문객 3,500명이다. 숙박과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 소득은 물론 농·임산물 직거래로 인근 주민들의 소득이 향상됐다”고 말했다.

행사를 주최한 최세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은 “최근 도시농업의 열기가 뜨겁다”며 “이를 기회로 농촌은 도시와의 교류, 농산물 직거래 등을 활성화함으로써 농업문제를 해결하는 등 도농상생의 구체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재정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