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작물 실용화 추진 농촌진흥청, GMO진흥청 될건가”

이상국 환경농업단체연합회 회장

  • 입력 2014.04.20 21:04
  • 수정 2014.04.20 21:05
  • 기자명 홍기원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농업단체연합회(이하 환농연)는 지난달 19차 정기총회를 열고 이상국 회장(한살림연합 상임대표)을 재임했다. 이 회장은 “전 국민과 친환경농업의 가치, 생명의 가치를 함께 공유하는 계기를 많이 마련하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 그러면서 “친환경농업에 도움은 못주더라도 방해하거나 국민의 인식을 흐리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KBS의 친환경인증관련 취재를 우회적으로 꼬집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환농연은 2014년 유기농업에 기반을 둔 가족농 육성과 친환경유기농업 정립을 위한 지방선거 정책 제언과 공약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이 회장은 친환경농업을 지속하기 위해선 영구직불금 도입이 필요하다며 “친환경농업은 외침에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국방처럼 국민밥상의 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건강한 농촌사회를 육성하고 국민밥상의 공공성을 유지하는 친환경농민에게 보상이 지불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그는 “친환경농업뿐 아니라 전체 농민을 대상으로 최저생계비를 보장해주는 육성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회장은 “농민들이 스스로 농사의 공공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같은 정책의 실현을 주장해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홍기원 기자>

▲ 이상국 환경농업단체연합회 회장
- 이달부터 한미 유기가공식품동등성 협상이 진행 중이다. 환농연이 협상을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우리가 미국에서 정한 기준을 그대로 따르는 건 문제가 있다. 미국은 유전자조작농산물(GMO)의 비의도적 혼입을 5%까지 허용하고 있다. 유전자조작 자체가 반생태적이고 인위적인 행동으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유기농 기준도 완벽하지 않은데 이마저 더 허물면 안 된다.

유기농의 정의를 보면 생태의 원칙, 공존의 원칙 등이 담겨있다. 이번 협상은 양국 사이의 교역을 통해 기본적인 유기농의 가치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 농촌진흥청은 GM작물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입장은?

▶ GMO는 정상적인 농업에 대한 도전이다. 농민 없는 농업을 전제로 공장식 농업을 추진하려 만든 게 GMO다. 또 인위적인 유전자조작의 문제점이 오늘 당장 나타나지 않는다고 안전하다 주장하는 것도 문제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엔 유기농업과도 있는데 유기농업과 GMO는 상반된 개념이다. 친환경농업육성법도 시행되고 있지만 GM작물이 들판에 뿌려지면 왜곡굴절현상이 일어나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싶어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 농촌진흥청은 친환경농업, 유기농업 진흥을 할 건지 GMO진흥청이 될 건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된다.

- 서울 친환경무상급식 논쟁에서 볼 수 있듯이 친환경농업이 정치적 논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민 속에 친환경농업이 뿌리내릴 방법을 제안한다면?

▶ 국민들이 내가 제대로 살려면 어떤 먹거리를 먹을건지, 안전한 먹거리는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는지, 또 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계속 생각을 확장해야 한다. 강제로 생각하게 할 순 없다. 그래서 생활협동조합처럼 자발적인 시민자구활동을 더 육성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