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에도 위기의식을

  • 입력 2014.02.23 18:36
  • 기자명 권순창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인들에게 가장 괴로운 시절이다. 3년만에 상륙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한 달 넘게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다 지난해 11월 창궐한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또한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두 질병에 대처하는 정부의 자세는 사뭇 다르다. AI가 발생하자 비상상황실을 꾸리고 방역 매뉴얼을 대폭 확대해 과도하다 싶을 정도의 살처분을 감행하는 정부지만 PED에 대해서는 발생주의보 발령과 함께 형식적으로 보이는 특별방역대책만을 내놓았을 뿐 미지근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고병원성 AI가 국내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인데 비해 PED는 제3종으로 분류된다.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고 예방접종을 통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며 50% 정도의 치사율을 보인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도 공식 보고대상 질병에서 제외하는 등 국내외에서 상대적으로 가볍게 다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PED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이다. 전체 치사율은 50% 수준에 그치지만 자돈만 놓고 보면 100%에 가깝다. 특정한 한 세대에 피해가 몰리기 때문에 해당 세대의 출하기에는 수급조절에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발병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아 표면상의 발생건수는 적지만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 기정사실이며, 정부는 이에 대해 정확한 실체가 없다는 이유로 대응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예방이 가능한 질병이라지만 어쨌든 이미 발병은 일어났다. 신고율이 낮아 대응하기 어렵다면 신고를 유도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피해규모 파악이 힘들어 수급조절이 힘들다면 최소한의 수입물량 조절 대책도 마련돼야 한다. 7만원 하던 자돈값이 27만원으로 오른 것이 설혹 실제 자돈감소 탓이 아니라 거품이 낀 가격이라면 그에 대한 진상 규명과 제재도 필요하다. 분명한 것은 가만히 손 놓고 있을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현장에서 돌고 있는 PED 확산 소문 가운데 행여 절반 정도만이 사실이더라도 양돈업계는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 AI는 1종 전염병이라 과민대응을 하고 PED는 3종 전염병이라 태연하다는 것은 현실을 보지 못한 채 규정에만 급급한 전시행정의 표상으로 비쳐질 수 있다.  <권순창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