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홈’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

  • 입력 2014.01.10 15:12
  • 기자명 한승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홀로 남은 노인의 4중고를 아는가. 빈곤, 질병, 고독, 무위가 바로 그것이다. 게다가 노인이 사는 곳이 변변한 편의시설 하나 없는 농촌이라면, 그 고통은 배가 된다. 홀로 지내다 쓸쓸히 생을 마감하는 노인들의 고독사는 농촌에선 현실의 문제다.

고령화된 농촌. 이제 이 말은 원래 하나의 단어였던 것처럼 익숙하게 읽힌다. 그만큼 농촌 인구의 빠른 고령화 속도와 고령 노인의 증가는 오늘날 농촌 위기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비례해 홀로 사는 노인들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북 김제시의 경우, 홀로 된 노인의 열악한 식생활 및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그룹-홈’ 사업을 2006년부터 시작하고 있다. 건물을 신축하거나 기존 경로당을 개보수한 그룹-홈에서 홀로 된 노인들이 같이 모여 살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136곳의 그룹-홈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곳에서 공동생활을 하고 있는 노인의 수도 1,340여명에 이른다.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의 만족도 또한 높은 편이다.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삶의 행복감 향상에도 적극 기여하고 있다. 홀로 남은 노인들의 의료비 및 생활비 등 사회적 비용과 부양의무자인 자녀들의 부양비용 또한 절감되는 효과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정된 시 예산으로는 그룹-홈의 효율적 운영을 기대할 수 없다. 운영인력 및 복지여가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지만 경로당 운영사업은 2005년부터 지방이양사업으로 전환돼 각 지자체마다 예산확보가 쉽지 않다. 전북발전연구원의 연구결과 김제시에만 약 200여 곳의 그룹-홈이 필요하다.

결국, 국가가 나서야 한다. 고령화된 농촌의 삶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농촌형 그룹-홈을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 및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농업에 과학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 보다 시급한 건 오늘날 위기의 농촌을 지탱하고 있는 고령 노인들의 불안한 삶이다. 정부는 아니 박 대통령은 이를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