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기계화, 기반조성이 우선이다

  • 입력 2013.11.22 13:20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는 밭작물의 기계화율을 현행 56%에서 2020년에는 70%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논농사의 경우 90%이상 기계화가 이루어져 농사를 기계로 짓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밭작물의 경우 수치상으로는 50%가 넘는다지만 농민들이 체감하는 기계화율은 30%내외다. 영농 작업 중 가장 노동력이 많이 드는 파종, 정식 작업과 수확작업은 거의 모든 작물이 기계화가 더딘 상황이다. 밭작물의 기계화는 파종 전 경운작업과 방제작업, 수확 후 운반 작업 정도이다. 농촌인구는 점점 감소하고, 농민은 고령화 되어 노동력을 구하기 어려지고 있다. 이는 곧 인건비 상승과 생산비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가 밭작물 기계화율을 높이겠다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관련 예산을 세우지도 않고 농민들의 의식의 문제로만 치부하고 있어 과연 정책효과가 얼마나 높을지 의문이다.

실상 농촌현장에서는 아무리 편리하고 좋은 기계가 있다고 해도 농산물의 품질과 생산량이 관행보다 적게 나온다면 농민들에게 외면 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농식품부는 수량과 상품성을 이유로 관행농법을 고집하는 것을 질타하고 있다는 것이다. 밭작물의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밭 기반 정리가 시급하다. 지금과 같이 자연지형 그대로 이루어진 밭을 기계화한다면 기계의 회전반경과 운행도로 확보 등으로 못 쓰는 땅이 많이 생긴다. 결국 작업은 편한반면 농지가 줄어드는 것인데 농민 정서상 용납할 수 없는 문제다. 1990년대부터 보급된 일관 작업기가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논과 마찬가지로 밭에 대한 경지정리 사업이 선행되지 않는 밭작물기계화는 공염불에 불과하다.

또하나 중시해야할 것은 밭작물은 대부분 농가당 재배면적이 넓지 않다는 점이다. 기계화를 한다고 일방적으로 규모화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 좁은 면적에서 활용 가능한 농기계를 개발해야한다. 지금과 같은 대규모의 영농을 중심으로 한 기계화는 우리 농촌 실정에 맞지 않는다. 정부가 정책을 세우고 정책목표를 설정할 때의 출발은, 농사현실과 농민의식에서부터 비롯돼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