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수매 빠진 국산밀 생산 확대, 가능할까

  • 입력 2013.11.08 10:30
  • 기자명 전빛이라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민은 물론이고 학계와 식품업체까지 국산밀 생산과 소비 확대를 위해 부단히도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수매가 빠진 국산밀 확대방안은 지속성이 없어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5년 밀 자급률 10% 달성이라는 정부 정책에 맞춰 국산밀 산업화를 통해 국내 밀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진청이 국산밀 품종을 개발·보급하면 농가는 이를 받아 재배하고, 가공업체는 생산된 밀을 사들여 약간의 손해를 감수하면서 이를 이용한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는 것.

사실 국제 곡물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전혀 없는 국산밀은 1984년 폐지된 밀 정부수매가 부활하지 않는 이상 소비처에 의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수밖에 없다.

실제 국산밀을 사용하고 있는 유명 제과업체는 우리밀과 수입밀의 가격차이가 별로 나지 않아 소비자 서비스 차원에서 국산밀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어디까지나 홍보차원인 것이다.

그러나 업체는 이윤을 내야만 유지되는 곳이기 때문에 병해 등으로 국산밀 가격이 상승하면 이같은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까지 밀 재배에 치명적인 붉은곰팡이병에 저항성을 가진 품종이 없기 때문이다.

전남 해남에서 밀 생산을 하다가 보리로 작목을 바꿨다는 한 농민은 “지속적으로 우리밀을 가져가던 대형 기업에서 질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일시에 계약을 끊었다. 안정적인 판로가 없는 농민들은 더 이상 밀을 생산할 수 없게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입으로만 ‘2015년 우리밀자급률 10% 달성’을 외치고 현실적 대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5년을 1년여 앞두고 있는 올해 국산밀 자급률은 아직도 2%선에 머물고 있다. 그만큼 안정적인 농가소득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최근 논의된 밀 공공비축 수매 계획도 내년 예산이 배정되지 않아 백지화 된 상태. 밀의 수명이 2년이니 정부수매가 어렵다면 종자비축 차원에서라도 국산밀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식량안보 차원에서 국산밀 정부수매가 다시 한 번 논의돼야 할 시점이 아닐까.

<전빛이라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