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농산물 인증마크, 소비자 혼란만 가중

정부·지자체 이어 농협까지 가세… 단일화 필요

  • 입력 2013.10.19 23:12
  • 기자명 김명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산물 인증마크가 여러 가지 형태로 늘어나면서 어떤 농산물을 믿고 먹을 수 있는지에 대해 소비자들이 혼돈하고 있다. 지역이나 기관 또는 농약 사용량 등 필요에 따라 인증 제도가 세분화 되면서 인증마크 또한 많아진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012년 발표한 농식품 국가인증 소비자 인지도에 따르면 소비자의 85%가 7개의 인증제도 중 3개의 인증제도만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종전 9개 16종으로 사용하던 국가인증마크를 지난해부터 1개 11종으로 사용하고 식별하기 쉽도록 로고를 통일했지만 정부가 정한 마크와는 별도로 지방자치단체와 농협에서도 고유의 상표를 붙여 유통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혼돈은 여전하다.

경기도는 도내에서 생산된 농축임수산물을 원료로 하는 생산물에 대해 도지사 인증 통합상표인 ‘G’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경기도가 농특산물에 대한 생산과 유통 및 품질관리까지 참여해 안전하게 공급한다는 목적으로 지난 2000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269개 개별 생산자, 작목반이 참여해 G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강원도도 ‘물방울마크’라는 농산물 브랜드를 개발해 사용중이다.

시군에서도 앞다퉈 지역을 나타내는 인증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서산시의 경우 ‘서산뜨레’, 진천군의 경우 ‘생거진천’, 울산시도 ‘친환경 인증마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농협은 ‘NHQ(Nongh yup High Quality) 농협인증쌀’제도라는 품질인증 마크를 만들어 홍보하고 있다. 이처럼 한 농가가 농산물품질관리원, 정부, 지방자치단체, 농협 등에서 모두 인증을 받는다면 4개의 인증마크를 붙인 농산물이 출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인증마크들은 관련 전문가나 정책당국자들이나 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물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여전히 인증마크 종류나 내용에 대해 혼란만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들은 친환경마크와 함께 난립해있는 인증마크가 오히려 불편을 가중시킨다고 말한다.

서울에 사는 김선영 씨는 “주의깊게 살피지 않으면 인증마크가 비슷해 농산물을 고르는데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복잡한 인증마크가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농산물의 선택이 아닌 제품 홍보로 밖에 안보여 안타깝다”고 말했다. 일본이나 유럽연합의 경우에는 인증표지에 통일성을 부여하거나 색깔과 형태, 디자인의 통일성으로 인증표시를 체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인증제도로 소비자의 혼란을 가져올 것이 아니라 공통표지의 활용과 단일화가 필요하다. <김명래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