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 생산자 조직부터 시작해야

  • 입력 2013.10.19 12:30
  • 기자명 안혜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즘엔 ‘로컬푸드’란 말을 거의 매일 듣는 것 같다. 정부는 로컬푸드 직매장을 올해 말까지 40개소로 늘리겠다고 하고 대형마트는 매장 내 로컬푸드 직거래 코너를 개설했으며 거의 매주 걸러 관련 토론회가 열린다.

하지만 로컬푸드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너도 나도 직거래에 뛰어드는 현상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로컬푸드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 소비 촉진을 위한 마케팅, 전자 시스템 도입 등 여러 가지 준비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를 듣다 보면 정작 중요한 생산자 조직을 위한 사전 준비는 빠져 있는 게 아닌가 싶다.

한번은 로컬푸드 방식을 매장에 도입한지 얼마 되지 않은 지자체 관계자에게 소농을 어떻게 조직했는지, 연중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어떤 구체적인 준비가 있었는지 물어봤다. 하지만 “그건 나중에 상인과 생산자간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정할 계획입니다”라는 두루뭉술한 답변만 있었을 뿐이다. 정작 중요한 소농들의 작목반 조직이나 연중 안정적인 물품 공급 체계 구축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 지자체는 앞으로 15개소까지 로컬푸드 직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하니 불안하지 않을 수 없다.

직거래 유통구조는 그림으로 그리면 간단하지만 준비까지 간단할 수는 없다. 오히려 로컬푸드 직거래는 결과물 보다는 그 과정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 아닌가. 완주로컬푸드는 1년간 380여개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고령 소농들에게 로컬푸드를 알리고 농가 6가구를 기준으로 작목회를 구성했다고 한다. 이 정도 노력 까지는 못하더라도 로컬푸드의 핵심인 “소농의 참여를 전제로 해 지역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유대관계를 쌓으며 농촌 공동체를 회복해 나가는 것”을 명심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