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은 농촌 누가 돌보나

  • 입력 2013.10.06 19:55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저출산 고령화가 한국사회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심각한 문제로 부각 되었다. 이즈음에는 고령화 보다는 저출산 문제가 더욱 큰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그러나 농촌사회는 이미 80년대부터 아기 울음소리가 사라졌다거나 폐교된 농촌학교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젊은이들이 사라진 농촌에는 남은 농민들이 늙어가고 있다. 그것도 아주 빠르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를 보면 2010년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이 31.8%다. 2015년에는 39.6%, 2020년에는 44.7%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농촌은 초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사실 이러한 수치가 아니더라도 농촌의 고령화는 농촌 어디에 가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논밭에서 일하는 농민들은 대부분 7~80대 노인이다.

이제 농촌은 노인들의 사회이다. 혹자는 농촌을 일컬어 거대한 경로당이라고 말했다. 많은 농촌 노인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스러운 노년을 보내고 있다. 농사를 지으며 늙어가는 농민들은 노후를 준비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어려운 농촌현실에 자식들을 키우고 가계를 꾸려가기도 빠듯했기 때문이다. 결국 늙어 노동력마저 잃고 나면은 소득 상실로 이어진다. 극빈층으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남은 것이라곤 평생 고된 노동으로 망가진 몸 뿐인데은 의료시설도 부족하고 교통마저 불편한 농촌 노인들의 앞을 또 한 번 가로 막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자녀들이 부모의 대를 이어 농사를 지으며 부모를 부양해왔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그렇지 않다. 부모의 대를 이어 농사를 짓는 사람이 없다. 뿐만 아니라 도시에 나가있는 자녀들이 고향에 계신 부모를 부양하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그래서 이제는 국가에서 그리고 지역사회에서 농촌노인들을 부양해야 한다. 국가와 사회가 노인들의 기초소득과 의료 요양 주거 영양 등을 돌보는 적극적인 노인복지 정책이 필요하다. 오늘날 농촌고령화 대책은 향후 10년 뒤 우리 사회가 직면하게 되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는 선행지표가 될 것이기에 더욱 중요하다.

더불어 농업계의 고령화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을 촉구하고자 한다. 농업계에서는 농업정책에 대해서 깊은 관심과 비판 그리고 대안이 난무하지만 정작 농촌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농민문제 특히 농촌노인 문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국민의 먹거리를 생산하며 민족의 식량창고를 묵묵히 지키며 살아온 농촌노인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노후를 보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것은 오늘날 농업계 모두에게 부여된 의무이자 책임이라 할 것이다.

한국농정신문은 창간 13주년 특집호로 고향에 계신 우리 부모인 농촌노인의 복지 문제를 조명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