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상생 없는 도시농업, 자본농업의 다른 이름이다

  • 입력 2013.03.11 10:35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농업이 해를 거듭하면서 양적팽창이 놀라울 정도다. 우선 도시농업참여자가 77만여 명에 이르러 280만 농민의 25%에 달하고 있다. 이른바 웰빙 열풍과 여가시간의 활용이라는 측면이 도시농업으로 뛰어들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초기 시민, 농민, 운동가들이 식량위기와 농촌붕괴를 보면서 쿠바모델로 도시농업을 안착시키려 했던 것에 견주어 보면 괄목성장이다.

또 박원순 서울시장이 광화문광장에 벼를 심고 노들섬에 오페라하우스 대신 텃밭을 만든 것은 농업적 철학으로 자본의 균형을 이뤄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이를 근거로 농식품부도 2011년 11월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이어 지난해 12월 제1차 도시농업육성 5개년계획(안)을 수립하기에 이른다. 헌데 발표한 안에 따르면 도농교류나 상생 등의 공동체육성이나 협동체계 구축은 찾아 볼 수 없고 연구개발에만 집중돼 있어 자칫 도시농업이 방향타를 잃게 되지는 않을까 걱정스럽다.

특히 MB정권이 2009년 저탄소녹색성장을 국가 어젠다로 선포하며 시작된, 식물공장사업의 추진은 도시농업의 자본참여를 가속화 할 것으로 보여 정부가 도시농업에 올바른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사업 계획에 보면 식물공장은 땅이 좁은 도심공간에 설치한다하니 도시농업의 한국형 모델이라 우기며 확산시킬 것이 명약관화 해질 뿐이다.

도시농업은 사람이 우선이어야 한다. 도시민의 삶이 우선이어야 하고 이들이 농민과 농사의 관계로 이어져야 한다. 농사라는 것이 하늘과 땅과 그 사이의 여러 먹이사슬들과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듯 도시농업도 그 틀을 벗으면 농사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식물공장이 갖는 의미는 도시농업과는 배치될 수밖에 없다. 인공토양, 인공조명, 인공영양물질 등을 투여한 캡슐 안에서 건강한 먹거리가 탄생할 수도 없고 자연환경을 보존하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자본의 잉여가 그 영역에 음습하게 자리 잡을 뿐이다.

우리는 도시농업이 초기 활동가들의 바람처럼 농업농민의 위기 속에서도 굳건하게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민들과 교감하기바라며 식량위기의 본질을 바로 아는 방향으로 가주길 바란다. 농림축산부의 거창한 5개년 계획이 도시농업을 그르칠까 걱정된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