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회의소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의 농업회의소’ 정의부터 되새겨야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제1차 세미나

  • 입력 2011.07.18 10:56
  • 기자명 원재정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소장 문경식)이 ‘농업회의소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1차 월례세미나를 14일 서울여성프라자에서 열었다.

이번 세미나는 녀름 장경호 부소장이 좌장을 맡고 (사)국민농업포럼 정기환 상임이사가 ‘농어업회의소 설립 및 운영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했다. 토론에는 전국농민회총연맹 이창한 정책위원장과 가톨릭농민회 손영준 사무총장의 농민단체측 토론자와 전북 진안군 농어업회의소 김현곤 사무국장, 녀름 연구소 박종포 비상임연구원 등이 함께 했다.

주제발표를 한 정기환 상임이사는 “농어업계의 보편적이고 공익적 목표와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농어업회의소가 필요하다”며 “지난 2010년 진안, 나주, 평창의 시범사업을 성공리에 정착시키고 2012년까지 20개 정도를 목표”에 두는 농어업회의소 로드맵을 설명했다.

특히 기초단위의 농어업회의소가 정착할 수 있도록 중앙단위의 ‘농어업회의소 설립 지원회의’를 구성하고 법제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회에서 진안군 농업회의소 김현곤 사무국장은 진안의 추진상황을 설명하면서 “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나 굉장히 필요하고 지금 추진해야 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역 농정 전문가와 농민운동 활동가들이 결합해야 모범적인 사례로 남을 것”이라며 농민단체의 역할론도 덧붙였다.

그러나 현장 농민들이 ‘농업회의소’에 대해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제기도 있었다.
전농 이창한 정책위원장은 “열악한 농촌 현실에서 농민들은 또 하나의 관주도 협의기구가  추가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면서 “다양한 농민단체들의 의견 차이를 어떻게 어우를 수 있는지 등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한국의 농업회의소는 무엇인지 구체적인 상을 확립하라”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 참가자들은 농정 거버넌스의 필요성은 공감했다. 그러나 현장 요구와 준비가 없는 상황에서 몇몇에 의해 준비되는 농업회의소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좀 더 다양한 토론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면서 농업회의소의 상을 정립해야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원재정 기자>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