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실천하는 농업살림, 밥상살림

  • 입력 2010.08.30 08:34
  • 기자명 한국농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많은 입후보자들이 지역농산물을 활용하여 학교급식에 활용하고, 나아가 지역먹거리체계를 확립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고 이들 중 상당수가 당선되었다.

민선 5기가 출범한 지 두달이 다 되어가는 상황에서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이 나름대로 진척된 지역도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일정이나 계획마저 마련하지 못한 지자체가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두 달이라는 기간이 짧다면 짧은 기간이지만, 초기에 실천의지를 공고히 하는 작업을 서두르지 않는다면 이 또한 헛공약이 되어버릴 공산이 크다.

이런 가운데, 지난 24일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남도연맹이 ‘지속가능한 충남농업을 위한 지역먹거리체계 수립의 과제와 방도’라는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가 열렸다. 이 자리를 통하여 어떻게 지역에서 농업을 살리고, 밥상을 살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이 함께 공유하였다.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의 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아직도 지역먹거리체계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비중은 높지 않았지만, 지역의 농산물을 학교급식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런 설문결과로 미뤄볼 때, 지역먹거리체계의 구축에 대한 공감대는 사회적으로 상당부분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어떻게 지역먹거리체계를 구축할 것인가라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각 지역이 실정에 맞게 만들어내는 것이다.

일례로, 강원도 정선군의 경우 어느 지자체보다 발 빠르게 2학기 개학과 동시에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하기로 했다. 현재 정선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음식재료의 품목 수가 15개인 점을 감안하여, 빠른 시일 내에 60개 품목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까지 마련하고 있다.

지역의 농업을 살리고, 이를 매개로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지역민들에게 안전한 밥상을 약속하는 지역먹거리체계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농업생산상황과 소비상황, 지역내 농민과 소비자의 조직상황, 그리고 조직 간의 네트워크 상황들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관계짓는 작업과 연결시켜내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먹거리체계는 임기응변식의 대응으로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 하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지역식량계획의 수립을 법이 강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서 광역지자체는 물론 지역지자체도 한시바삐 지역먹거리체계의 확립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