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에서 정책으로, 여성의원과 여성농민단체의 파트너십을 강화하자

  • 입력 2010.07.19 10:13
  • 기자명 오미란 실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2 지방선거가 끝난지 이제 한달하고 보름이 지났다. 그 동안 여성농민들의 행보는 매우 바빴을 것이다. 후보를 낸 단체는 후보와 함께 선거를 치르느라 정신이 없었을 것이고 후보를 내지 않은 단체들 역시 정책이나 여타 방법으로 여성농민을 위한 일꾼을 뽑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6.2 지방선거는 여성정치의 현실적인 장벽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여성정치의 가능성을 보여준 장이기도 했다. 6.2 지방선거 결과 광역단체장에 여성은 한명도 당선되지 않았다. 기초단체장은 6명이 당선되어 여성비율은 2.6%를 차지하였다. 광역의원의 경우 14.8%, 기초의원은 21.7%로 여성비율이 상승하였다. 

이번에 구성된 지방의회는 여러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우선 풀뿌리 자치라고 불리우는 시·군 단위에서 선출직 여성의원들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번 선거에서도 지방의회에서 선출직 여성의원을 만나기는 매우 어렵다. 광역 여성의원들은 대부분 비례를 통해 진입한 의원들이다.

특히 시.군 기초의원들의 여성비중이 높아진 것은 비례대표의 93.6%가 여성의원이라는 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중에서도 민주노동당 등 진보정당에서 여성비례 비중은 40%를 넘어서 기초의원의 여성비율을 높이는데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비례냐 선출직이냐를 떠나 여성의원들의 갈길이 바빠졌다.

대부분 자치단체들이 7.9일을 전후로 원을 개원하고 상임위를 구성하여 활동에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여성의원들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의정활동을 전개하고 여성의 정치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에 도전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져 있다. 여성의원들은 이러한 과제를 여성농민 단체들과 공동으로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성농민 단체들도 여성의원이 곧바로 여성농민의 정치적 이해를 대표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여성의원들이 명실상부하게 여성농민 정책 실현을 위한 동반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성농민 단체들은 여성의원들과 함께 지속적인 정책 및 예산 관련 작업에 관한 진지한 검토와 실천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정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